기능해부학/관절(Joint)

관절의 분류와 기능

건운사 2020. 2. 29. 02:37
반응형

움직임에 근거한 관절 분류

 

 

1) 부동관절(Synarthrosis)

 

- 움직임이 없거나 약간의 움직임이 허용되는 관절

- 뼈 사이를 강력하게 연결하고 힘을 전달함

- 섬유관절(fibrous joint) : 높은 아교질(콜라겐)을 가진 치밀결합조직에 의해 고정(ex. 머리뼈봉합 등)

- 연골관절(cartilaginous joint) : 섬유연골, 유리연골에 의해 고정(ex. 척추뼈몸통사이관절 등)

 

 

2) 가동관절(Diarthrosis)

 

- 중간~광범위한 움직임이 허용되는 관절

- 관절연골(articular cartilage) : 뼈끝의 관절면을 덮고 있는 연골

- 관절주머니(관절낭, articular capsule)

치밀결합조직으로 위치를 고정하는 바깥층 / 윤활막(synovial membrane)이 있어 관절의 마찰을 감소시키는 속층

- 인대(ligament) : 뼈와 뼈 사이를 강력하게 연결해 관절을 보호하는 조직

- 혈관(blood vessel) : 관절주머니를 뚫고 들어가 관절에 영양공급

- 감각신경(sensory nerve) : 관절주머니 바깥층과 인대의 신경지배

- 관절원반(articular disc) / 반달연골(meniscus) : 관절면 사이에 있는 섬유패드로 관절 일치성 증가 / 힘 분산

- 관절테두리(관절순, peripheral labrum) : 어깨와 엉덩관절의 오목면을 깊게해 안정성 증가

- 윤활주머니(윤활낭, bursa) : 윤활액으로 차 있는 작은 주머니

- 윤활막주름(synovial fold) : 관절주머니 속층의 주름으로 윤활막 표면적증가시켜 관절의 가동범위 증가

 

 

 


 

 

 

역학적 유사성에 근거한 가동관절 분류

 

 

1) 경첩관절(hinge joint)

 

- 문의 경첩과 유사한 관절

- 돌림축에 직각인 운동면에서 각운동 발생

- 자유도 1 허용(굽힘과 폄)

- 돌림운동 외에 약간의 병진운동(미끄러짐) 발생가능

- (ex. 위팔자관절, 손가락/발가락의 뼈사이관절 등)

 

 

 

문의 경첩과 유사한 경첩관절

 

 

 

2) 중쇠관절(차축관절, pivot joint)

 

- 문의 손잡이와 유사한 관절

- 돌림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운동 발생

- 자유도 1 허용(스핀)

- (ex. 위팔노관절, 고리중쇠관절 등)

 

 

 

문의 손잡이와 유사한 중쇠관절(차축관절)

 

 

 

3) 타원관절(ellipsoid joint)

 

- 한쪽이 긴 오목관절면과 한쪽이 긴 볼록관절면이 만나는 관절

- 관절면이 타원형으로 만나 스핀이 제한됨

- 자유도 2 허용(굽힘과 폄, 벌림과 모음)

- (ex. 노손목관절 등)

 

 

 

편평한 타원형과 유사한 타원관절

 

 

 

4) 절구관절(구와관절, ball and socket joint)

 

- 구형의 볼록관절면과 컵 입구 같은 오목관절면이 만나는 관절

- 절구관절과 다르게 스핀가능

- 시상면, 이마면, 수평면의 움직임 가능

- (ex. 오목위팔관절, 엉덩관절)

 

 

 

오목한 컵에 들어간 공과 유사한 절구관절(구와관절)

 

 

 

5) 평면관절(plane joint)

 

- 2개의 편평한 관절면이나 약간 곡선을 가진 관절면이 만나는 관절

- 돌림축을 정의할 수 없음

- 병진운동(미끄러짐)과 약간의 돌림운동이 결합된 움직임 가능

- (ex. 손목손허리관절, 손목/발목 뼈사이관절)

 

 

 

책상 위의 책과 유사한 평면관절

 

 

 

6) 안장관절(saddle joint)

 

- 서로 직각으로 놓인 오목관절면과 볼록관절면이 만나는 관절

- 말안장과 유사한 관절

- 자유도 2 허용(굽힘과 폄, 벌림과 모음)

- 스핀은 가능하나 제한됨

- (ex. 엄지의 손목손허리관절 등)

 

 

 

말안장과 유사한 안장관절

 

 

 

7) 융기관절(condyloid joint)

 

- 절구관절과 유사하나 오목관절면이 매우 얕은 관절

- 인대나 뼈의 불 일치성으로 자유도 2만 가짐

- 관절구조에 따라 가능한 운동이 다름

- (ex. 고리뒤통수관절, 무릎 관절 등)

 

 

 

얕은 오목면을 가진 절구관절과 유사한 융기관절

 

 

 


 

 

 

※정리문제

 

1. 부동관절과 가동관절이란?

2. 가동관절을 항상 구성하는 요소는?

3. 관절테두리(관절순)의 기능은?

4. 역학적 유사성에 근거한 윤활관절 7가지는?

5. 절구관절(구와관절)에 대해 설명하라

6. 인체의 관절 중 대표적인 안장관절은?

 

답 ↓

더보기

1. 부동관절은 움직임이 없거나 약간 허용되는 관절로 고농도의 아교질(콜라겐)을 가진 치밀결합조직에 의해 고정되는 섬유관절과 섬유연골에 의해 고정되는 연골관절이 있고 가동관절은 광범위한 운동을 허용하는 관절

2. 인체의 모든 가동관절은 윤활액, 관절연골, 관절주머니, 윤활막, 인대, 혈관, 감각신경을 항상 포함

3. 관절테두리는 어깨관절의 관절오목과 엉덩관절 절구에 존재해 오목면을 깊게 만들어 관절의 안정성을 높임

4. 윤활관절은 역학적 유사성에 따라 경첩관절, 중쇠관절, 타원관절, 평면관절, 안장관절, 절구관절, 융기관절로 분류

5. 절구관절은 컵 입구와 유사한 오목관절면과 공과 유사한 볼록관절면이 만나는 관절로 자유도 3을 허용하며 인체에서는 오목위팔관절과 엉덩관절이 있음

6. 대표적인 안장관절은 엄지의 손목손허리 관절이 있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