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능해부학/어깨복합체(Shoulder complex) 9

어깨 모음/폄과 가쪽돌림/안쪽돌림 근육

어깨 모음/폄 근육 1) 근육 - 뒤어깨세모근(후면삼각근, posterior deltoid) - 넓은등근(광배근, latissimus dorsi) - 큰원근(대원근, teres major) - 큰가슴근의 복장갈비갈래(sternocastal head of pectoralis major) - 위팔세갈래근 긴 갈래(long head of the triceps brachii) 2) 기능 - 넓은등근, 큰원근, 큰가슴근은 모음과 폄의 결합 동작의 가장 큰 모멘트 팔을 가짐 - 폄근육이자 모음 근육들은 대부분 불안정한 어깨뼈에 부착부위를 가지므로 모음/폄 시 어깨뼈 안정화를 위해 마름근의 작용이 필요함 - 작은가슴근과 넓은 등근은 어깨뼈의 아래쪽 돌림을 보조해 강력한 어깨 모음과 폄 동작시 명확히 보임 어깨 안쪽돌..

오목위팔관절(GH joint)에서의 팔 올림 근육

오목위팔관절(GH joint)의 팔 올림 근육 1) 근육 - 앞어깨세모근(전면삼각근, anterior deltoid) - 중간어깨세모근(중간삼각근, middle deltoid) - 가시위근(극상근, supraspinatus) - 부리위팔근(오훼상완근, coracobrachialis) - 위팔두갈래근 긴 갈래(상완이두근 장두, long head of biceps brachii) 2) 기능 - 앞/중간 어깨세모근과 가시위근은 어깨 벌림 시작 시 활성화되어, 60~90도 벌림 시 최대 수준이 됨 - 중간어깨세모근과 가시위근은 비슷한 단면적과 모멘트 팔을 가져 어깨 벌림의 토크를 비슷하게 생산함 - 어깨세모근/가시위근 마비 시 능동적인 어깨 벌림이 불가능함 어깨가슴관절의 위쪽 돌림 근육 1) 근육 - 앞톱니근(..

어깨가슴관절(견흉관절, ST joint)의 근육

올림(거상) 근육들 1) 올림 근육 - 위등세모근(상부 승모근, upper trapezius) - 어깨올림금(견갑거근, levator scapulae) - 큰마름근(대능형근, major rhomboid) - 작은마름근(소능형근, minor rhomboid) 2) 기능 - 팔이음뼈(어깨뼈/빗장뼈)와 팔의 자세를 지지함 - 위등세모근은 빗장뼈의 가쪽 끝에 부착되어 복장빗장관절에 지레 작용 제공 3) 위등세모근의 마비로 인한 병리현상 ㄱ. 폴리오바이러스 - 폴리오바이러스에 의해 위등세모근 마비 - 빗장뼈가 내림되어 복장빗장관절의 위쪽 탈구 유발 - 복장빗장관절이 탈구되면 빗장뼈 가쪽 끝이 낮아짐 - 낮아진 빗장뼈 가쪽 끝이 첫째 갈비뼈에 놓여, 빗장뼈 안쪽이 위로 밀림 - 내림된 빗장뼈 몸통이 빗장 밑 혈관들..

어깨복합체의 6가지 운동형상학적 원리

어깨위팔리듬(Scapulohumeral rhythm) - 30도의 어깨 벌림 이후 벌림은 오목위팔관절 : 어깨가슴관절 = 2 : 1 의 비율로 발생함 - 어깨의 3도 벌림 = 오목위팔관절에서 2도 벌림 + 어깨가슴관절 1도 위쪽 돌림 - 결과적으로 어깨의 180도 벌림은 오목위팔관절에서 120도 + 어깨가슴관절에서 60도의 움직임으로 발생됨 어깨 완전 벌림 시 60도의 어깨뼈 위쪽 돌림 - 어깨위팔리듬에 의해 발생한 어깨가슴관절의 위쪽돌림은 복장빗장관절의 빗장뼈 올림 + 봉우리빗장관절의 어깨뼈 위쪽돌림이 결합된 움직임 - 기술적인 이유로 어깨가슴관절의 위쪽 돌림에서 발생하는 복장빗장관절과 봉우리빗장관절의 각운동을 정확히 측정하기 어려움 어깨 완전 벌림 시 복장빗장관절(SC joint)에서 빗장뼈 뒤당김 ..

오목위팔관절(관절와상완관절, GH joint)의 관절학

오목위팔관절(관절와상완관절, GH joint) 1) 특징 - 큰 위팔뼈머리의 볼록면과 얕은 어깨뼈 관절 오목의 오목면으로 형성 - 어깨뼈 관절오목의 관절면은 앞-가쪽 향하고 위팔뼈머리는 안-위쪽을 향해 서로 마주 보게 됨 2) 관절주위 결합조직과 구조 ㄱ. 섬유성 관절주머니(Fibrous capsular) - 관절오목 테두리 ~ 위팔뼈의 해부목에 부착 - 관절주머니의 공간 용적은 위팔뼈머리 크기의 2배로 오목위팔관절의 가동성을 증가시킴 - 윤활막(synovial membrane) : 관절주머니 안을 지나가는 위팔두갈래근의 긴 힘줄과 나란히 놓임 - 겨드랑이주머니(액와낭, Axillary pouch) : 관절주머니의 느슨한 부분 ㄴ. 오목위팔관절주머니인대(상완관절낭인대, Glenohumeral capsul..

어깨가슴관절(견흉관절, ST joint)의 관절학

어깨가슴관절(견흉관절, STjoint) 1) 특징 - 어깨가슴관절은 진짜 관절이 아니라 어깨뼈 앞면과 가슴의 뒤-가쪽 사이의 접촉부위 - 접촉부위는 직접 접촉이 아니라 어깨밑근(견갑하근), 앞톱니근(전거근), 척추세움근(척추기립근) 등의 근육에 의해 분리됨 - 근육들에 의한 접촉면은 움직임 동안 관절에 가해지는 전단력을 낮춤 - 어깨가슴관절의 움직임은 어깨의 큰 가동성을 보조함 어깨가슴관절(견흉관절, ST joint)의 운동형상학 - 어깨가슴관절(ST joint)의 움직임은 봉우리빗장관절(AC joint)과 복장빗장관절(SC joint)의 협동 움직임으로 발생함 1) 어깨가슴관절의 올림 - 복장빗장관절(SC joint)에서 빗장뼈 올림 + 봉우리빗장관절(AC joint)에서 어깨뼈 아래쪽 돌림으로 발생 ..

봉우리빗장관절(견쇄관절, AC joint)의 관절학

봉우리빗장관절(견쇄관절, AC jount) 1) 특징 - 빗장뼈 가쪽 끝과 어깨뼈 봉우리 사이로 구성 - 어깨뼈 봉우리의 빗장관절면은 안쪽-위쪽으로 향해있어 빗장뼈의 봉우리 관절면에 잘 맞음 - AC관절에는 관절원반이 있음 - 관절면이 평평한 평면관절 2) 관절주위 결합주위 ㄱ. 관절주머니인대(관절낭인대, Capular ligament) - 위관절주머니인대(상관절낭인대, superior) : AC 관절의 관절주머니를 보강해 안정성 높임 - 아래관절주머니인대(하관절낭인대, inferiror) : AC 관절의 관절주머니를 보강해 안정성 높임 ㄴ. 부리빗장인대(오훼쇄골인대, Coracoclavicular ligament) - 마름인대(능형인대, trapezoid ligament) : 부리돌기 위면 ~ 빗장뼈 ..

복장빗장관절(흉쇄관절, SC joint)의 관절학

어깨복합체의 관절학 용어 1) 움직임 용어 - 올림(거상, elevation) : 어깨뼈가 위쪽으로 미끄러지는 것 - 내림(하강, depression) : 어깨뼈가 아래쪽으로 미끄러지는 것 - 내밈(전인, protraction) : 어깨뼈 안쪽 모서리가 신체 중앙에서 멀어지는 것 - 뒤당김(후인, retraction) : 어깨뼈 안쪽 모서리가 신체 중앙에 가까워지는 것 - 위쪽돌림(상방회전, upward rotation) : 어깨뼈 아래각이 위-가쪽으로 돌림 하는 것 - 아래쪽돌림(하방회적, downward rotation) : 어깨뼈 아래각이 아래-안쪽으로 돌림 하는 것 복장빗장관절(흉쇄관절, SC joint) 1) 특징 - 빗장뼈 안쪽 끝 + 복장뼈의 빗장 관절면 + 첫째 갈비 연골의 위쪽 모서리로 ..

어깨복합체의 골학

골학 1) 복장뼈(흉골, Sternum) ㄱ. 복장뼈자루(흉골병, manubrium) - 타원형의 빗장관절면 2개를 가짐 - 한 쌍의 갈비관절면 가짐 ㄴ. 빗장관절면(쇄골와, Clavicular facet) - 복장뼈자루 위의 양쪽 가장자리에 위치 - 빗장뼈와 관절해 복장빗장관절(흉쇄관절) 형성 ㄷ. 갈비관절면(늑골와, Costal facet) - 복장뼈자루 가쪽 가장자리에 위치 - 첫째/둘째 갈비뼈의 부착부위 2) 빗장뼈(쇄골, Clavicle) ㄱ. 빗장뼈몸통(쇄골체, Shaft) - 앞면 : 안쪽으로 볼록 가쪽으로 오목 - 긴축 : 수평면에 대해 약간 위쪽, 이마면에 대해 20도 뒤쪽 ㄴ. 복장 끝(흉골단, Sternal end) - 복장뼈와 관절해 복장빗장관절(흉쇄관절) 형성 ㄷ. 봉우리 끝(견봉..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