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해부학/근육(Muscle)

근육피로(Muscular Fatigue)

건운사 2020. 3. 4. 00:36
반응형

근육 피로(Muscular Fatigue)

 

 

1) 근육피로

 

- 최대 노력에도 불구하고 운동으로 유발되는 근육 힘 감소

- 보통의 근피로는 휴식에 의해 회복됨

- 주어진 과제의 수행 실패 시간을 이용해 정량화 가능

 

 

2) 최대하 노력과 최대 노력에서 지속된 근수축

 

ㄱ. 반복적인 최대하 노력의 근수축 시 근육 피로

   - 건강한 사람의 근육 피로는 최대하 노력에서 장시간 과제 시 감지하기 어려움

   - 반복적 운동 시 큰 운동 단위가 동원되어 EMG의 진폭은 점진적으로 증가하지만 힘은 일정하게 유지됨

 

ㄴ. 반복적인 최대 노력의 근수축 시 근육 피로

   - 최대 노력의 지속된 근수축은 최대 힘에서 빠른 감소율을 보임

   - 반복적 운동 시 더 이상 동원되는 큰 운동 단위가 없어 EMG의 진폭은 근육의 힘만큼 감소

 

 

 

5번의 최대하노력의 근수축과 1번의 최대노력 근수축의 반복시 힘과 EMG의 관계

 

 

 

3) 근육 피로의 크기와 발생률

 

ㄱ. 운동시간/강도에 따른 근육피로

   - 짧은 시간 고강도 운동에 의한 근육 피로는 몇 분의 휴식 후 회복

   - 장시간 저강도 운동에 의한 근육피로는 더 긴 시간 휴식 후 회복

 

ㄴ. 근육 수축 유형에 따른 근육피로

   - 반복적인 편심성 근수축은 동심성 수축보다 피로가 적음

   - 편심성 근수축은 교차연결당 발생힘이 커서 동심성 근 수축보다 운동단위의 동원이 적음

   - 반복적인 편심성 근 수축 후 지연성근통증은 동심성/등척성 근수축보다 큼

 

ㄷ. 나이와 성별에 따른 근육 피로

   - 여성이 남성보다 유형 I 근섬유(느린 연축)의 비율이 높아 덜 피로해짐

   - 등척성 활동 시 노인이 젊은 성인에 비해 덜 피로해짐

   - 등속성 활동시 노인이 젋은 성인보다 더 피로해짐

 

 

 


 

 

 

근육 피로의 원인

 

 

1) 근육 / 신경근육이음부에서 발생하는 기전

 

- 신경근육이음부에서의 감소된 흥분성

- 횡문근형질막에서의 감소된 흥분성

- 세포 속 칼슘의 감소된 감소성

- 교차연결주기의 느려짐

- 감소된 에너지원

- 감소된 혈류와 산소 공급

 

 

2) 신경계통에서 발생하는 기전

 

- 척추위중추로 가는 흥분성 입력 감소 / 알파운동신경세포들에 흥분성 입력의 감소가 되어 운동신경세포의 활성이 감소되어 근육 힘이 저하

 

 

 


 

 

 

※ 정리 문제

 

1. 근육 피로란?

2. 반복적인 최대하 노력과 최대 노력에서의 근수축시 근피로에 대해 설명하라

3. 편심성 근수축과 동심성 근수축에서의 근피로를 설명하라

4. 성별에 따른 근피로를 설명하라

5. 근육 피로의 원인 기전을 설명하라

 

답 ↓

더보기

1. 근육 피로란 최대 노력에도 불구하고 운동 시 유발되는 최대 힘이 감소되는 것

2. 반복적인 최대하 노력 시 동원되는 운동 단위가 피로해져 큰 운동단위가 동원되어 근육의 힘은 유지됨, 반복적인 최대 노력시 큰 운동단위가 초기에 활성되므로 더 이상 다른 운동단위가 동원되지 않아 근육 힘이 감소

3. 편심성 근수축시 교차 연결당 발생하는 힘이 커서 운동 단위가 적게 동원되므로 동심성 근수축 보다 피로가 적음

4. 상대적인 강도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유형 I 근섬유 비율이 높으므로 피로에 더 저항할 수 있음

5. 근육 피로의 원인에는 운동을 지속해서 에너지원이 감소되고 에너지원이 감소되므로 교차 연결이 느려지며 신경근육이음부에서 흥분성이 감소되어 근육의 힘이 감소됨

반응형

'기능해부학 > 근육(Musc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뼈대 운동자로서의 근육  (5) 2020.03.03
뼈대 안정자로서의 근육  (0) 2020.0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