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건강운동관리사 필기시험 2교시
기능해부학 A형

- ㄴ. 위팔어깨관절은 시상면에서 굽힘 180도/폄 45도 가능
- ㄱ. 손목관절은 시상면에서 굽힘 80도/폄 70도 가능
- ㄷ. 발목관절은 시상면에서 바닥쪽 굽힘 45도/발등 굽힘 20도 가능
※ 답 : 나

백 스쿼트에서 상체를 앞으로 숙이게되면 중량 부하가 멀어져 근육에 작용하는 부하가 커지며, 골반이 앞으로 더 기울기 때문에 큰볼기근의 토크가 커지고 넙다리네갈래근의 토크가 작아짐
※ 답 : 가

어깨뼈의 안쪽모서리를 아래쪽 돌림 시키는 근육은 마름근, 작은가슴근 등이 있음
※ 답 : 다

팔꿈치를 굽힘시키는 근육 중 위팔근이 가장 큰 생리학적 단면적을 가지므로 팔꿈치 굽힘에 가장 큰 힘을 발휘한다.
※ 답 : 나

네모엎침근은 자뼈 먼쪽 앞면~노뼈 먼쪽 앞면에 부착되며 아래팔의 엎침을 만드는 근육이다
※ 답 : 나
2015년 건운사 필기시험 기능해부학 11~15번 문제는 관절가동범위, 스쿼트시 자세에 따른 근육의 토크, 어깨뼈를 아래쪽 돌림시키는 근육, 팔꿈치 굽힘근 중 가장 큰 힘을 내는 근육, 아래팔 엎침근에 대해 출제되었습니다.
그러므로 각 관절의 가동범위, 내적모멘트팔과 외적모멘트팔, 어깨뼈의 움직임을 만드는 근육, 근육의 생리학적 단면적, 아래팔 엎침근에 대해 공부해볼까요?
※ 공부 자료
- 관절의 정상 가동범위
2020/03/01 - [기능해부학/관절(Joint)] - 관절주위 결합조직(Periarticular connective tissue)
관절주위 결합조직(Periarticular connective tissue)
관절주위 결합조직의 구성 1) 섬유단백질(Fibrous protein) ㄱ. 아교질(Collagen) - 인체의 단백질 중 30% - 3중 나선형으로 꼬여있는 아미노산으로 구성 - 유형 I 아교질 : 신장이 잘 안 되는 굵은 섬유로 구성되..
physicalman.tistory.com
- 내적모멘트팔과 외적모멘트팔
2020/02/19 - [기능해부학/운동학(Kinesiology)] - 운동역학
운동역학
근육 뼈대의 힘 1) 조직에 작용하는 힘 - 부하(load) : 신체에 작용하는 힘 - 탄성 영역(Elastic region) : 부하에 의해 조직이 길어지고 부하가 사라지면 원래의 길이로 돌아올 수 있는 영역 - 항복점(Yield poin..
physicalman.tistory.com
'건강운동관리사 필기시험 문제 풀이 > 기능해부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6 기능해부학 6~10번 풀이/해설 (0) | 2020.04.17 |
---|---|
2016 기능해부학 1~5번 풀이/해설 (0) | 2020.04.15 |
2015년 기능해부학 16~20번 풀이/해설 (0) | 2020.03.19 |
2015년 기능해부학 6~10번 풀이/해설 (0) | 2020.03.10 |
2015년 기능해부학 1~5번 풀이/해설 (0) | 2020.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