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근육작용 2

2015년 기능해부학 1~5번 풀이/해설

2015년 건강운동관리사 필기시험 2교시기능해부학 A형 근육은 마이오신 - 액틴의 교차결합의 수에 따라 최대 힘이 달라지는데, 길이가 길어지거나 짧아지면 교차결합이 수가 감소하기 때문에 최대 힘이 감소한다. 손목을 굽히게 되면 손가락 굽힘근(깊은손가락굽힘근, 얕은손가락굽힘근, 긴엄지굽힘근)의 길이가 감소되어 쥐는 힘이 약해진다. ※ 답 : 나 사람의 정상적인 보행은 뒤꿈치 닿기 → 발바닥 닿기 → 중간디딤기 → 뒤꿈치 떼기 → 발가락 떼기의 과정으로 발생함. 이때 종아리세갈래근(장딴지근 두갈래 + 가자미근)은 발바닥 닿기시 거의 수축하지 않고 → 발바닥 닿기와 중간디딤기에서 신장성 수축을 해서 발의 발등쪽 굽힘을 조절 → 뒤꿈치떼기에서 단축성 수축을 해서 발목의 발바닥쪽 굽힘을 만들어 신체를 앞으로 미는..

등세모근(승모근, Trapezius)

위 등세모근(upper trapezius) 1) 부착부위 - 기시 : 뒤통수뼈(후두골, occipital bone) - 정지 : 빗장뼈 가쪽-뒤면(쇄골 후-외측면, lateral-posterior clavicle) 2) 작용 - 어깨뼈 올림, 어깨뼈 위쪽 돌림 3) 신경 지배 - 일차적 지배 : 척수 더부신경(spinal accessory nerve) - 이차적 지배 : C2-C4의 앞가지(C2~C4 ventral root) 중간 등세모근(middle trapezius) 1) 부착부위 기시 : 목덜미 인대(항 인대) 정지 : 봉우리(견봉) 안쪽 모서리와 어깨뼈 가시(견갑극) 2) 작용 - 어깨뼈 모음, 어깨뼈 위쪽 돌림 3) 신경 지배 - 일차적 지배 : 척수 더부신경 - 이차적 지배 : C2-C4의 앞..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