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심전도 4

2017 병태생리학 1 ~ 5번 풀이/해설

2017년 건강운동관리사 필기시험 2교시 병태생리학 A형 - 이형성 : 세포가 정상이 아닌 형태로 변화하는 것 - 과형성 : 외부 자극에 대해 세포가 증식활동을 해 조직의 부피가 증가하는 것 - 신생물 : 정상세포가 어떤 자극에 의해 변형되어 무절제한 증식으로 생성되는 것 - 비대 : 세포용적이 증가해 장기조직이 대형화 되는 것 ※ 답 : 2 호중구는 백혈구의 일종으로, 조직성 괴사 등에서 증가하며, 기생충감염이나 바이러스 질환, 백혈병등에서 감소함 ※ 답 : 1 좌심실비대는 고혈압, 대동맥판 협착증, 승모판 폐쇄부전 등 여러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임 ※ 답 : 3 ② : 유방암은 여성호르몬에 노출된 기간과 관련있으므로, 빠른 초경과 늦은 폐경이 유방암의 위험요인임 ③ : BRCA1 유전자는 종양 발..

2017 운동부하검사 16 ~ 20번 풀이/해설

2017년 건강운동관리사 필기시험 1교시 운동부하검사 A형 심박수 변동부전이란 최대심박수가 예측된 최대심박수 보다 20bpm 이상 낮다는 것임 ※ 답 : 2 ∴ 운동부하검사에서 운동강도가 1MET 증가하면, 수축기 혈압은 일반적으로 10±2mmHg 증가함 ∴ 운동 중 고혈압 반응(수축기 혈압이 250mmHg 이상/이완기 혈압 115mmHG 이상)은 운동검사의 상대적 종료 지침이며, 운동 검사 중 최대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하인 경우는 좋지 않은 예후임 ※ 답 : 2 ㄱ, ㄴ, ㄷ은 심전도 상의 ST분절로 ㄱ, ㄴ, ㄷ 모두 하강하고 있는 심전도상 허혈반응이나, 다른 부위에서 허혈이 나타났다고는 할 수 없음 ※ 답 : 4 ㄱ : 민감도는 심혈관 질환자가 양성 결과를 얻을 경우이며, 특이도는 심혈관..

2016 운동부하검사 6~10번 풀이/해설

2016년 건강운동관리사 필기시험 1교시 운동부하검사 A형 위 심전도는 V1에서 토끼귀 모양의 파형(R'가 발생되어 토끼모양처럼 위로 솟음)이 발생되고 V5와 V6에서 넓은 S파가 발생하므로 우각차단 시의 심전도 ※ 답 : 4 운동부하검사 시 심전도 상 심실빈맥, 심실조동, 심정지 상태의 파형이 발생하면 운동을 종료하고 자동제세동기를 적용해야함 ※ 답 : 2 운동부하 증가시 에너지가 더 필요하므로 환기당량과 산소섭취량, 산소사용량, 이산화탄소 생성량 등은 증가하지만 호기말 이산화탄소 분압은 영향이 없음 ※ 답 : 4 - ④ : 동정맥산소차는 운동부하검사 중에 측정하기 힘듦 ※ 답 : 4 베타차단제는 교감신경의 베타수용체를 차단해 심근수축력과 심박수를 감소시키므로 심박수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약물이다. ..

2015 운동부하검사 16~20번 풀이/해설

2015년 건강운동관리사 필기시험 1교시 운동부하검사 A형 - 다 : 운동 시 심박수 증가 부전은 최대 심박수 예측치보다 20 bpm이상 낮게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 답 : 다 - 가 : 운동강도 증가 시 수축기 혈압이 안정 시 보다 감소되면 주의해야 함 - 다 : 혈관확장제, 칼슘채널차단제 등의 약물의 섭취는 정확한 혈압측정을 어렵게 만듦 -라 : 정상상태의 이완기 혈압은 운동 중에 유지되거나 감소하므로 운동 후 이완기 혈압은 점진적으로 감소하지 않음. ※ 답 : 나 심전도에서 T파의 역전은 심근허혈, 심근경색을 의심할 수 있으나 ST 분절의 이상이 없는 T파의 역전은 허혈성 심질환이 아닐 확률이 높음 ※ 답 : 라 - 가 : 민감도는 관상동맥질환이 있는 사람이 양성의 결과를 얻는 경우의 백분율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