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해부학/손(Hand)

손의 외재성 굽힘근

건운사 2020. 11. 10. 22:41
반응형

손의 외재성 굽힘근

 

 

 

1) 얕은손가락굽힘근(천지굴근, Flexor digitorum superficialis)

 

- 위팔뼈 안쪽위관절융기, 자뼈 부리돌기에서 2~5 중간손가락뼈 바닥 양면에 부착됨

- 3개의 손목굽힘근(노쪽손목굽힘근, 자쪽손목굽힘근, 긴손바닥근), 원엎침근의 깊은쪽에 위치

- PIP관절과 얕은손가락굽힘근이 지나가는 관절 모두 굽힘함

- 새끼손가락 제외한 힘줄은 독립적 조절 가능

 

 

 

2) 깊은손가락굽힘근(심지굴근, Flexor digitorum profundus)

 

- 자뼈 앞쪽 중간과 뼈사이막에서 2~5 먼쪽손가락뼈 바닥에 부착됨

- 아래팔의 가장 깊은 곳에 위치

- DIP관절과 깊은손가락굽힘근이 지나가는 관절 모두 굽힘함

- 검지를 제외한 손가락은 여러개의 근육다발로 연결되어 독립적으로 굽힘 어려움

 

 

 

3) 긴엄지굽힘근(장무지굴근, Flexor pollicis longus)

 

- 노뼈 앞쪽 중간, 뼈사이막, 위팔뼈 안쪽위관절융기에서 엄지의 먼쪽손가락뼈 바닥에 부착됨

- 깊은손가락근육의 가쪽에 위치

- 엄지의 IP관절 굽힘함

 

 

 

손가락의 외재성 굽힘근의 기시-정지

 

 

 

4) 윤활집(synovial sheath)

 

ㄱ. 자쪽 윤활집(ulnar synovial sheath)

   - 얕은손가락굽힘근과 깊은손가락굽힘근들의 힘줄을 에워쌈

 

ㄴ. 노쪽 윤활집(Radial synovial sheath)

   - 긴엄지굽힘근의 힘줄을 엄지의 먼쪽 손가락뼈 바닥까지 에워쌈

 

ㄷ. 손가락 윤활집(Distal synovial sheath)

   - 먼쪽손바닥주름에서 DIP관절까지 힘줄을 에워쌈

   - 깊은손가락굽힘근과 얕은손가락굽힘근의 마찰을 감소시킴

 

 

 

5) 섬유손가락집(Fibrous digital sheath)

 

ㄱ. 기능과 특징

   - 외재성 굽힘근의 힘줄을 먼쪽에 부착시키며 보호함

   - 손가락뼈와 바닥판에 고정됨

 

ㄴ. 굽힘근 도르래(Flexor pulley)

   - 섬유손가락집 안쪽의 조직띠

   - 힘줄을 손가락에 고정시켜 '활시위 현상'을 방지함

 

   · 고리도르래(annular pulley)
   - A2 : 몸쪽손가락뼈 몸통에 부착
   - A4 : 중간손가락뼈 몸통에 부착
   - A1 : MCP관절 바닥판에 부착
   - A3 : PIP관절 바닥판에 부착
   - A5 : DIP관절 바닥판에 부착

   · 십자도르래(Cruciate pulley)
   - C1 : A2 ~ A3 사이에서 십자모양으로 부착
   - C2 : A3 ~ A4 사이에서 십자모양으로 부착
   - C3 : A4 ~ A5 사이에서 십자모양으로 부착

 

 

 

섬유손가락집과 윤활집의 위치

 

 

 


 

 

 

손의 외재성 굽힘근들의 기능/작용

 

 

 

1) 몸쪽 안정자로서의 근육

 

- 손가락 폄근은 위팔뼈 가쪽위관절융기 ~ 중간손가락뼈 등쪽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이론상 작용하면 팔꿈치관절, 손목관절, CMC관절, MCP관절, IP관절들의 모든 폄이 가능함

- 그러므로 특정한 관절에서만의 폄을 하기 위해서는 폄근의 작용방항의 반대에서 손의 외재성 굽힘근들이 안정화하는 역할을 함

 

 

 

이 그림은 손가락 굽힘근의 작용 시 손가락폄근의 안정자역할을 보여줌

 

 

 

2) 힘줄고정작용

 

- 손의 외재성 손가락 굽힘근은 많은 관절을 지나기 때문에 특정한 관절에서의 신장 시 다른 관절에서의 수동 움직임을 발생시킴

- 손목의 완전 굽힘에서 완전 폄으로 전환 시 20도의 DIP관절 굽힘, 50도의 PIP관절 굽힘, 35도의 MCP관절 굽힘이 발생함

 

 

 

손목의 완전 굽힘에서 완전 폄으로 전환 시, 힘줄고정작용에 의한 DIP관절, PIP관절, MCP관절의 수동굽힘발생

 

 

 


 

 

 

※ 정리문제

 

1. 손의 외재성 굽힘근들에 대해 설명하라

2. 섬유손가락집에 대해 설명하라

3. 힘줄고정작용이란?

4. 몸쪽 안정자 역할이란?

 

↓답

더보기

1. 손의 외재성 굽힘근에는 위팔뼈 안쪽위관절융기에서 2~5 중간손가락뼈 바닥 양쪽에 부착하는 얕은손가락굽힘근, 자뼈 앞쪽 중간에서 2~5 먼쪽손가락뼈 바닥에 부착하는 깊은손가락굽힘근, 노뼈 앞쪽 중간에서 엄지의 먼쪽손가락뼈 바닥에 부착하는 긴엄지굽힘근이 있음

 

2. 섬유손가락집은 손의 외재성 굽힘근들을 보호하며 굽힘근들을 각 손가락뼈에 고정시켜 굽힘근의 수축 시 발생할 수 있는 활시위 현상을 방지함

3. 손의 외재성 근육은 다관절 근육이기때문에 특정한 관절에서 신장시 다른 관절의 수동적인 움직임을 발생시킨다. 예를들어, 손목의 완전 폄 시, PIP관절과 DIP관절, MCP관절에서 수동적인 움직임이 발생해 손가락이 다 펴지지 않음

4. 손가락의 폄 시  손가락폄근은 다관절 근육이기 때문에 특정한 관절에서만 폄하기 위해서는 폄근의 작용방향과 반대되는 굽힘근이 작용해서 안정화하는 것

 

 

 


 

 

 

★ 참고자료

 

 

2020/06/17 - [기능해부학/손(Hand)] - 손가락뼈사이관절(지절관절, IP joint)

 

손가락뼈사이관절(지절관절, IP joint)

손가락의 관절 1) 몸쪽 손가락뼈사이관절(PIP joint) - 몸쪽 손가락뼈머리와 중간 손가락뼈바닥 사이의 관절 ㄱ. 관절융기  - 몸쪽 손가락뼈머리의 두개의 둥근 융기 ㄴ. 곁인대(collateral ligament)  -

physicalman.tistory.com

 

2020/06/15 - [기능해부학/손(Hand)] - 손허리손가락관절(중수수지관절, MCP joint)

 

손허리손가락관절(중수수지관절, MCP joint)

둘째~다섯째 손허리손가락관절(2nd~5th MCP joint) 1) 특징 - 볼록한 손허리뼈머리와 몸쪽 손가락뼈 몸쪽 관절면 사이의 관절 ㄱ. 곁인대  - 덧부분 : 부채모양 섬유로 구성되어 손허리뼈머리 뒤결절 ~

physicalman.tistory.com

 

2020/06/09 - [기능해부학/손(Hand)] - 손목손허리관절(수근중수관절, CMC joint)의 관절학

 

손목손허리관절(수근중수관절, CMC joint)의 관절학

둘째~다섯째 손목손허리관절(2nd~5th CMC joint) 1) 둘째 손목손허리관절(검지) - 둘째 손허리뼈바닥이 작은마름뼈의 먼쪽 관절면 + 큰마름뼈 먼쪽 관절면 + 알머리뼈와 관절해 형성 - 먼쪽줄 손목뼈(

physicalman.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