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건강운동관리사 필기시험 문제 풀이/기능해부학 12

2015년 기능해부학 6~10번 풀이/해설

2015년 건강운동관리사 필기시험 2교시 기능해부학 A형 - 실제 다리길이 측정방법 : 대상자를 눕힌 후 엉덩관절과 무릎관절을 펴고 줄자를 사용해 위앞엉덩뼈가시~안쪽복사뼈까지의 길이를 잰다 - 기능적인 다리길이 측정방법 : 배꼭에서 안쪽복사뼈까지의 길이를 잰다. ※ 답 : 나 세포질은 세포막과 핵 사이의 기질로 사립체, 소포체, 리보솜, 골지체 등으로 구성됨 - 골지복합체는 리보솜에서 합성된 단백질을 가공해 소포에 저장하는 역활을 한다. ※ 답 : 라 긴 뼈 : 긴 원통모양의 뼈(위팔뼈, 넙다리뼈 등) 짧은 뼈 : 약간 정육면체 모양의 뼈(손목뼈, 발목뼈 등) 납작 뼈 : 얇으며 방어적인 뼈(어깨뼈, 무릎뼈, 복장뼈 등) 불규칙 뼈 : 독특한 모양과 기능을 가진 뼈(척추뼈 등) 종자 뼈 : 둥근형태의 작..

2015년 기능해부학 1~5번 풀이/해설

2015년 건강운동관리사 필기시험 2교시기능해부학 A형 근육은 마이오신 - 액틴의 교차결합의 수에 따라 최대 힘이 달라지는데, 길이가 길어지거나 짧아지면 교차결합이 수가 감소하기 때문에 최대 힘이 감소한다. 손목을 굽히게 되면 손가락 굽힘근(깊은손가락굽힘근, 얕은손가락굽힘근, 긴엄지굽힘근)의 길이가 감소되어 쥐는 힘이 약해진다. ※ 답 : 나 사람의 정상적인 보행은 뒤꿈치 닿기 → 발바닥 닿기 → 중간디딤기 → 뒤꿈치 떼기 → 발가락 떼기의 과정으로 발생함. 이때 종아리세갈래근(장딴지근 두갈래 + 가자미근)은 발바닥 닿기시 거의 수축하지 않고 → 발바닥 닿기와 중간디딤기에서 신장성 수축을 해서 발의 발등쪽 굽힘을 조절 → 뒤꿈치떼기에서 단축성 수축을 해서 발목의 발바닥쪽 굽힘을 만들어 신체를 앞으로 미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