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건강체력 3

2018 건강체력평가 16~20번 풀이/해설

2018년 건강운동관리사 필기시험 1교시 건강체력평가 A형 6분 걷기 검사를 할 수 없는 경우 2분 제자리 걷기 검사를 시행함 ※ 답 : 3 - 윗몸일으키기는 심폐지구력 평가가 아닌 근지구력 평가하는 방법 ※ 답 : 2 한 손으로 측정 부위를 잡고, 잡은 손가락에서 1cm 정도 떨어진 부위를 캘리퍼로 집음 ※ 답 : 1 - 건강체력 : 심폐지구력, 근지구력, 근력, 유연성, 신체조성 - 운동체력 : 순발력, 민첩성, 평형성, 협응성 - ㄷ, ㄹ은 운동체력이므로 답X ※ 답 : 1 ① : 가속도계가 객관적이므로 일일기록지 보다 측정오차가 적음 ③ : 가속도계가 신체활동 설문지보다 신체활동량을 정확히 측정 가능 ④ : IPAQ 신체활동 설문지로 대사당량과 열량 추정 가능 ※ 답 : 2 2018년 건운사 건강..

2017 건강체력평가 11~15번 풀이/해설

2017년 건강운동관리사 필기시험 1교시 건강체력평가 A형 - ① : A집단이 B집단보다 심폐지구력이 평균적으로 더 우수해 보임 - ② : A집단이 B집단보다 결과가 더 많이 퍼져있으므로 분사도가 큼 - ④ : B집단이 A집단보다 결과가 모여있으므로(편차가 적으므로) 최대산소섭취량 추정치의 신뢰구간이 더 큼 ※ 답 : 3 - 규준 : 비교하고자 하는 근거 - 준거 : 절대적인 판단의 근거 - ㄹ : 준거지향기준과 비교해 체력의 절대적인 위치를 확인 ※ 답 : 1 - ① : 표본의 심폐지구력은 모집단보다 평균적으로 걸린시간(초)이 기므로 심폐지구력이 모집단보다 낮음 - ② : 표본의 유연성은 모집단보다 평균적으로 우수함 - ③ : 표본의 심폐지구력 평균은 모집단과 비교할 때 유연성의 평균보다 높으나 그냥 ..

2015년 건강체력평가 11~15번 풀이/해설

2015년 건강운동관리사 필기시험 1교시 건강체력평가 A형 - 가 : 생체전기저항법은 전기적 저항을 이용해 신체구성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땀을 흘리거나, 물을 많이 마시거나 등의 행동을 하면 측정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 나 : 남자의 피하지방 두께 측정은 가슴, 복부, 대퇴로 측정한다. - 다 : CT는 엑스레이, 초음파 검사를 여러 방향에서 실시해 컴퓨터를 통해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FAT CT라고 해서 내장지방을 알 수 있는 검사가 있다. ※ 답 : 라 최대하 심폐체력 검사에 사용되는 최대하 브루스 프로토콜은 각 단계에서 3분간 운동 후 다음 단계로 진행하며, 쿠퍼 달리기 테스트나 1마일 테스트는 주어진 거리를 초단위로 측정해 최대 산소섭취량을 추정한다. ※ 답 : 다 - 가 : 팔굽혀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