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목위팔관절 3

오목위팔관절(GH joint)에서의 팔 올림 근육

오목위팔관절(GH joint)의 팔 올림 근육 1) 근육 - 앞어깨세모근(전면삼각근, anterior deltoid) - 중간어깨세모근(중간삼각근, middle deltoid) - 가시위근(극상근, supraspinatus) - 부리위팔근(오훼상완근, coracobrachialis) - 위팔두갈래근 긴 갈래(상완이두근 장두, long head of biceps brachii) 2) 기능 - 앞/중간 어깨세모근과 가시위근은 어깨 벌림 시작 시 활성화되어, 60~90도 벌림 시 최대 수준이 됨 - 중간어깨세모근과 가시위근은 비슷한 단면적과 모멘트 팔을 가져 어깨 벌림의 토크를 비슷하게 생산함 - 어깨세모근/가시위근 마비 시 능동적인 어깨 벌림이 불가능함 어깨가슴관절의 위쪽 돌림 근육 1) 근육 - 앞톱니근(..

오목위팔관절(관절와상완관절, GH joint)의 관절학

오목위팔관절(관절와상완관절, GH joint) 1) 특징 - 큰 위팔뼈머리의 볼록면과 얕은 어깨뼈 관절 오목의 오목면으로 형성 - 어깨뼈 관절오목의 관절면은 앞-가쪽 향하고 위팔뼈머리는 안-위쪽을 향해 서로 마주 보게 됨 2) 관절주위 결합조직과 구조 ㄱ. 섬유성 관절주머니(Fibrous capsular) - 관절오목 테두리 ~ 위팔뼈의 해부목에 부착 - 관절주머니의 공간 용적은 위팔뼈머리 크기의 2배로 오목위팔관절의 가동성을 증가시킴 - 윤활막(synovial membrane) : 관절주머니 안을 지나가는 위팔두갈래근의 긴 힘줄과 나란히 놓임 - 겨드랑이주머니(액와낭, Axillary pouch) : 관절주머니의 느슨한 부분 ㄴ. 오목위팔관절주머니인대(상완관절낭인대, Glenohumeral capsul..

어깨복합체의 골학

골학 1) 복장뼈(흉골, Sternum) ㄱ. 복장뼈자루(흉골병, manubrium) - 타원형의 빗장관절면 2개를 가짐 - 한 쌍의 갈비관절면 가짐 ㄴ. 빗장관절면(쇄골와, Clavicular facet) - 복장뼈자루 위의 양쪽 가장자리에 위치 - 빗장뼈와 관절해 복장빗장관절(흉쇄관절) 형성 ㄷ. 갈비관절면(늑골와, Costal facet) - 복장뼈자루 가쪽 가장자리에 위치 - 첫째/둘째 갈비뼈의 부착부위 2) 빗장뼈(쇄골, Clavicle) ㄱ. 빗장뼈몸통(쇄골체, Shaft) - 앞면 : 안쪽으로 볼록 가쪽으로 오목 - 긴축 : 수평면에 대해 약간 위쪽, 이마면에 대해 20도 뒤쪽 ㄴ. 복장 끝(흉골단, Sternal end) - 복장뼈와 관절해 복장빗장관절(흉쇄관절) 형성 ㄷ. 봉우리 끝(견봉..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