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운동생리학 20

2016 운동생리학 1~5번 풀이/해설

2016년 건강운동관리사 필기시험 1교시 운동생리학 A형 젖산은 대부분 간에서의 당신생과정을 통해 포도당으로 전환됨 ※ 답 : 2 혈류재분배는 운동 시 골격근의 산소요구량이 증가해 골격근으로 가는 혈류량은 증가하고, 장기 등으로 가는 혈류는 감소하는 것이다. ※ 답 : 3 - ① : 노화로 인한 근 손실은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서 예방과 지연이 가능하다. ※ 답 : 1 심전도는 심장에서 발생하는 전기활동으로 인한 심근 활동전류의 기록으로 심실의 1회 박출량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렵다. ※ 답 : 4 호흡계/순환계는 가스의 확산으로 인해 이루어지는데 가스의 확산은 분압이 높은 곳에서 분압이 낮은 곳으로 이동하는것으로, 이산화탄소를 내뿜기 위해서는 폐포보다 대기의 이산화탄소 분압이 낮아야 하며, 동맥의 산소분..

ATP와 무산소성 ATP 생산

아데노신 3인산(ATP) 1) 정의 - 근수축을 위한 가장 빠른 에너지원 - 아데닌 + 리보오스 + 3인 산으로 구성 2) 에너지 생산(ATP 분해) - ATP는 ATPase에 의해 ADP + Pi(인) + 에너지로 분해됨 - ATP의 분해로 발생한 에너지를 근수축의 에너지원으로 사용함 - 1g의 ATP 분해 시 7.3kcal의 에너지 방출 무산소성 ATP 생산 1) ATP-PC 시스템(ATP-PC system) - 가장 빠르고 쉽게 ATP 생산하는 과정 - 5초 이내의 고강도 운동이나 운동 시작 시 에너지 공급 ㄱ. ATP 생산방법 - 크레아틴인산(PC)을 크레아틴 키나아제(CK)라는 효소로 분해해서 발생되는 에너지로 ADP를 ATP로 합성 ㄴ. ATP-PC 시스템의 조절 - 크레아틴인산(PC)의 분해..

운동생리학 2020.03.17

운동의 주요 에너지원

탄수화물(Carbohydrate) 1) 정의 - 탄소, 수소, 산소로 구성된 화합물 - 뇌의 유일한 에너지원 - 신체에서 가장 빠르게 에너지 제공 - 1g 당 4kcal의 에너지 생산 2) 형태 ㄱ. 단당류(Monosaccharide) - 더 이상 가수분해 되지 않는 당류 - (ex. 포도당, 과당 등) ㄴ. 이당류(Disaccharide) - 단당류가 2개 결합하여 생성되는 당류 - (ex. 자당, 맥아당 등) ㄷ. 다당류(Polysaccharide) - 단당류가 여러 개 결합하여 생성되는 당류 - (ex. 녹말, 글리코겐 등) ㄹ. 글리코겐(당원, Glycogen) - 동물조직에 축적되어 있는 다당류 - 수백, 수천개의 단당류 분자로 구성 - 당원분해를 통해 당원을 포도당으로 분해시켜 에너지원으로 사..

운동생리학 2020.03.17

세포와 세포의 화학적 반응

세포(Cell) 1) 구조 ㄱ. 세포막(cell membrane) - 외부환경으로부터 세포를 구분하는 반투과성 장벽 - 세포 구성요소를 둘러쌈 - 세포 내외의 기질 통과 조절 ㄴ. 핵(Nucleus) - 세포 내에 위치한 둥근 모양체 - 세포의 유전자를 가짐 - 유전자는 세포 내의 단백질 합성을 조절 - 대부분 세포는 하나의 핵을 가지지만 근세포는 다핵세포 ㄷ. 세포질(cytoplasm) - 핵과 세포막 사이의 액체 부분 -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 : 세포호흡과 세포 내 에너지 생산 - 소포체(endoplasmic reticulum) : 지질, 스테로이드 호르몬 합성과 대사 기능 수행 - 용해소체(lysosome) : 세포 내의 이물질을 식작용으로 소화, 분해 - 골지복합체(golgi co..

운동생리학 2020.03.12

항상성(Homeostasis)과 신체조절

항상성(Homeostasis)과 항정 상태(Steady state) 1) 정의 - 항상성(homeostasis) : 신체 내부 환경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 - 항정 상태(steady state) : 세포 조직의 요구량과 요구에 대응하는 신체 반응이 균형 이루는 것 (ex. 최대운동시 심박수가 더 이상 오르지 않는 것) 2) 체온조절에서의 항상성 - 체온 증가 시 : 열 수용기 → 열 조절 센터 → 혈관 확장, 땀 배출 → 열손실 → 정상상태 - 체온 감소 시 : 열 수용기 → 열 조절센터 →혈관 수축, 땀샘 비활성화 → 열보존 → 정상상태 3) 혈당조절에서의 항상성 - 혈당 증가 시 : 췌장의 수용기 → 조절 중추 → 인슐린 분비 → 세포의 포도당 섭취 → 혈당 정상 - 혈당 감소 시 : 췌장의 수용기 ..

운동생리학 2020.03.09

2015년 운동생리학 16~20번 풀이/해설

2015년 건강운동관리사 필기시험 1교시 운동생리학 A형 체온이 상승하면 산소와 헤모글로빈의 결합이 약해져 산소-헤모글로빈의 해리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하고, 골격근에 산소공급이 용이해진다. - 해리 : 산소-헤모글로빈에서 산소가 분리되는 것 - 산소-헤모글로빈 해리곡선 : X 축은 산소분압, Y 축은 산화형 헤모글로빈 포화도로 헤모글로빈과 산소의 친화도가 높아지면 왼쪽, 낮아지면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 답 : 다 평균동맥혈압은 심장의 주기(수축기 + 이완기) 동안의 평균혈압으로 이완기혈압 + 1/3맥압의 공식으로 보통 측정한다. ※ 답 : 가 - 가 : 신체가 클수록 필요한 혈액량(산소량)이 많고, 같은 강도에서 운동시 보통 남자가 여자보다 1회 박출량이 높아 심박출량이 높다. - 나 : 훈련자는 비훈..

2015년 운동생리학 11~15번 풀이/해설

2015년 건강운동관리사 필기시험 1교시 운동생리학 A형 Type II 섬유는 ATPase 활성도가 높아 Type I 섬유보다 더 많은 ATP를 사용해 큰 힘을 발생시킬 수 있다. - Type I 형 섬유는 미토콘드리아 수가 많아 산화적 능력이 좋고 유산소성 에너지 체계를 주로 사용해 피로 저항이 높고 ATPase의 활성도가 낮아 작은 힘을 오랫동안 사용 가능 - Type II형 섬유는 미토콘드리아 수가 적어 산화적 능력이 낮고 무산소성 에너지 체계를 주로 사용해 피로 저항이 낮으며 ATPase의 활성도가 높아 큰 힘을 발생시킬 수 있음 ※ 답 : 나 코티졸의 분비는 스트레스 받을 때 시상하부에서 코티코트로핀 분비 호르몬 분비 → 뇌하수체에서 부신피질 자극 호르몬 방출 → 부신피질에서 코티졸 분비로 조절..

2015년 운동생리학 6~10번 풀이/해설

2015년 건강운동관리사 필기시험 1교시 운동생리학 A형 일반적인 자극에 대한 신경전달은 감각수용기 → 감각신경 → 중추신경계(뇌, 척수) → 운동신경 → 말초신경계로 전달됨 - 추체로 : 추체세포에서 나온 신경축삭다발로 뇌의 일차운동영역이 근육을 움직이게 하는 기전 - 추체외로 : 운동신경세포와 직접 연결되지 않고 대뇌겉질을 통해 간접적으로 움직임에 기여하며 추체로를 통한 운동 시 근육의 긴장을 무의식적 조절함 ※ 답 : 가 가소성은 생명체가 환경에 적응해 어떤 것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것으로 운동은 뇌신경 시냅스의 가소성을 증가시킨다. ※ 답 : 라 부적 피드백은 정상 상태가 아닐 때 줄이거나 늘려서 정상상태로 만드는 피드백으로 출산 시 옥시토신의 분비는 이미 증가한 자궁의 수축을 더욱 증가시키므..

2015년 운동생리학 1~5번 풀이/해설

2015년 건강운동관리사 필기시험 1교시 운동생리학 A형 크렙스 회로는 아세틸 조효소 + 옥살아세트산 → 시트르산 → α-케토글루타르산염 → 숙신산 → 말산 → 옥살아세트산을 반복한다 ※ 답 : 나 유리지방산은 베타산화과정을 통해 아세틸 코에이로 전환되어 사용된다. - 나 : 해당작용은 포도당을 분해해 에너지를 얻는 과정 - 다 : 근육에서의 당원 분해는 근육의 당원이 해당 작용의 원료로 사용될 때 발생 ※ 답 : 라 지방 100% 사용시 호흡 교환율은 0.7이고, 탄수화물 100% 사용 시 호흡 교환율은 1.00 ※ 답 : 나 1MET = 3.5ml/kg/min 이므로 10MET = 35ml/kg/min 산소섭취량은 60kg X 35ml/kg/min X 10min = 21000ml/kg/min 이 되고..

"운동수행능력증가" 크레아틴편

오늘 다룰 주제는 "크레아틴"인데요. 평소 헬스에 관심이 많으신 분들은 크레아틴이라는 말을 들어보셨을 거예요. 우리 몸에 꼭 필요한 "크레아틴" 그냥 먹지 말고 어떻게 작용하고 어떻게 먹어야 하는지 알아볼까요? 크레아틴이란? - 우리 몸의 간과 신장에서 아르기닌, 글리신, 메티오닌의 합성으로 발생하는 물질로 ATP에 의해 인산 크레아틴으로 우리 몸의 근육에 대부분 저장돼요. ATP란? - 아데노신과 인산기 3개가 합쳐진 아데노신 3인 산으로 인체가 사용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에너지원 - ATP가 분해되어 ADP와 에너지가 되고 이 에너지를 사용하게 됨 크레아틴 인산 시스템 - 무산소성 에너지 대사작용으로 우리 몸에서 산소 없이 생성되는 에너지 시스템이에요 - 운동 시 ATP가 분해되어 ATP 수준이 감..

알고 먹자 2020.02.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