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건강운동관리사 158

생체역학의 기본원리

뉴턴의 운동법칙 1) 뉴턴의 제 1 법칙(관성의 법칙) - 외부에서 물체에 힘이 적용되지 않는 한 물체가 가만히 있거나 속도를 유지한다는 법칙 - 정적 평형(static equilibrium) : 물체의 선형 속도 / 돌림 속도 0인 경우 - 동적 평형(dynamic equilibrium) : 물체의 선형속도 / 돌림 속도 0이 아니지만 일정한 경우 - 관성(inertia) : 물체가 외부로부터 힘을 받지 않을 때 처음의 운동 상태를 계속 유지하려는 성질 - 질량(mass) : 물체를 구성하는 물질의 양 - 질량중심(center of mass) : 질량이 모든 방향에서 일정하게 분포되는 지점 - 질량관성모멘트(mass moment of inertia) :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물체가 계속해서 회전을..

일과 파워의 측정

측정단위 1) 미터법 - 질량, 길이, 부피 정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측정체계 메가(mega) 1,000,000 킬로(kilo) 1,000 센트(cent) 0.01 밀리(milli) 0.001 마이크로(micro) 0.000001 나노(nano) 0.000000001 피코(pico) 0.000000000001 2) 국제단위(SI) - 에너지, 힘, 일, 파워 등을 표준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측정체계 질량(Mass) kilogram(kg) 거리(Distance) meter(m) 시간(Time) second(s) 힘(Force) Newton(N) 일(Work) Joule(J) 에너지(Energy) Joule(J) 파워(Power) watt(W) 속도(Verocity) meters per second(m·..

운동생리학 2020.03.05

근육피로(Muscular Fatigue)

근육 피로(Muscular Fatigue) 1) 근육피로 - 최대 노력에도 불구하고 운동으로 유발되는 근육 힘 감소 - 보통의 근피로는 휴식에 의해 회복됨 - 주어진 과제의 수행 실패 시간을 이용해 정량화 가능 2) 최대하 노력과 최대 노력에서 지속된 근수축 ㄱ. 반복적인 최대하 노력의 근수축 시 근육 피로 - 건강한 사람의 근육 피로는 최대하 노력에서 장시간 과제 시 감지하기 어려움 - 반복적 운동 시 큰 운동 단위가 동원되어 EMG의 진폭은 점진적으로 증가하지만 힘은 일정하게 유지됨 ㄴ. 반복적인 최대 노력의 근수축 시 근육 피로 - 최대 노력의 지속된 근수축은 최대 힘에서 빠른 감소율을 보임 - 반복적 운동 시 더 이상 동원되는 큰 운동 단위가 없어 EMG의 진폭은 근육의 힘만큼 감소 3) 근육 피..

주근(팔꿈치근, Anconeus)

1) 부착부위 - 기시 : 위팔뼈 가쪽위관절융기 뒤면(상완골 외측상과 후면, posterior of lateral epicondyle of humerus) - 정지 : 팔꿈치머리돌기(주두돌기, olecranon process), 자뼈 뒤면(척골 후면, posterior unlar) 2) 작용 - 팔꿈치 폄 - 관절주머니를 팽팽하게 만들어 관절주머니의 끼임 방지 3) 신경지배 - 노신경(요골신경, radius nerve)

위팔세갈래근(상완삼두근, Triceps Brachii)

1) 부착부위 - 기시 - 장두 : 어깨뼈 오목아래결절(견갑골 관절하결절, infraglenoid tubercle of scapula) - 외측두 : 위팔뼈의 노신경고랑 위쪽(상완골의 요골신경구 상부, superior to radial groove of humerus) - 내측두 : 위팔뼈의 노신경고랑 아래쪽(상완골의 요골신경구 하부, inferior to radial groove of humerus) - 정지 : 자뼈 팔꿈치머리돌기(척골 주두돌기, olecranon process of ulnar) 2) 작용 - 팔꿈치 폄 - 어깨 폄 - 어깨 모음 3) 신경지배 - 노신경(요골신경, radius nerve)

뼈대 운동자로서의 근육

근육의 힘-속도 관계 1) 힘-속도 곡선(Force velocity curve) - 근육 길이의 변화 속도와 최대 힘 생산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곡선 - 수직축은 힘 / 수평축은 근육 길이 변화 속도 ㄱ. 동심성(Concentric) 힘-속도 관계 - 동심성 활동시 발생하는 힘은 근육 단축 속도에 반비례(수축 속도 증가 시 교차 연결 수 감소) - 등척성 수축때 교차 연결 수가 최대가 되어 동심성보다 큰 힘 생산 ㄴ. 편심성(Eccentric) 힘-속도 관계 - 편심성 활동시 발생하는 힘은 근육 신장 속도에 비례(정확한 이유 X) - 인간은 근육 손상을 막기 위한 보호기전에 의해 편심성으로 높은 속도에서 최대 활성 X - 동심성보다 근섬유가 적게 동원됨 ㄷ. 편심성 힘 생산이 동심성 힘 생산보다 큰 이유..

자쪽손목굽힘근(척측수근굴근, Flexor carpi ulnaris)

1) 부착부위 - 기시 - 위팔갈래 : 위팔뼈 안쪽위관절융기(상완골 내측상과, medial epicondyle of humerus) - 자갈래 : 자뼈 팔꿈치머리(척골 주두, olecranon of unlar) - 정지 : 콩알뼈(두상골, pisiform), 콩알갈고리인대(두상유구인대, pisohamate ligament), 콩알손허리인대(두상중수인대, pisometacarpal ligament), 다섯번째 손허리뼈바닥(제 5 중수골기저, 5th base of metacarpal) 2) 작용 - 팔꿈치 굽힘(약함) - 손목 굽힘 - 손목 자쪽치우침 3) 신경지배 - 자신경(척골신경, unlar nerve)

뼈대 안정자로서의 근육

근육의 구조와 형태 1) 근육 ㄱ. 수축 단백질 - 근원섬유마디 내의 능동적 힘을 발생시키는 단백질 - 미오신(myosin) : 근육 수축 시 수축력 발생시키기 위해 액틴과 결합하는 단백질 - 액틴(actin) : 힘 전달하고 근원섬유마디가 짧아지도록 미오신과 결합하는 단백질 ㄴ. 조절 단백질 - 트로포미오신(tropomyosin) : 액틴을 안정화시켜 액틴과 미오신의 상호작용 조절하는 단백질 - 트로포닌(troponin) : 칼슘이온과 결합해 트로포미오신의 위치에 영향을 주는 단백질 ㄷ. 근육의 섬유 - 근원섬유(sarcomere) : 근섬유의 기본단위 - 근섬유(muscle fiber) : 근육섬유가 근육속막에 의해 모인 다발 - 근섬유다발(fascicle) : 근섬유가 근육다발막에 의해 모인 다발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