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건강운동관리사 158

2015년 기능해부학 6~10번 풀이/해설

2015년 건강운동관리사 필기시험 2교시 기능해부학 A형 - 실제 다리길이 측정방법 : 대상자를 눕힌 후 엉덩관절과 무릎관절을 펴고 줄자를 사용해 위앞엉덩뼈가시~안쪽복사뼈까지의 길이를 잰다 - 기능적인 다리길이 측정방법 : 배꼭에서 안쪽복사뼈까지의 길이를 잰다. ※ 답 : 나 세포질은 세포막과 핵 사이의 기질로 사립체, 소포체, 리보솜, 골지체 등으로 구성됨 - 골지복합체는 리보솜에서 합성된 단백질을 가공해 소포에 저장하는 역활을 한다. ※ 답 : 라 긴 뼈 : 긴 원통모양의 뼈(위팔뼈, 넙다리뼈 등) 짧은 뼈 : 약간 정육면체 모양의 뼈(손목뼈, 발목뼈 등) 납작 뼈 : 얇으며 방어적인 뼈(어깨뼈, 무릎뼈, 복장뼈 등) 불규칙 뼈 : 독특한 모양과 기능을 가진 뼈(척추뼈 등) 종자 뼈 : 둥근형태의 작..

항상성(Homeostasis)과 신체조절

항상성(Homeostasis)과 항정 상태(Steady state) 1) 정의 - 항상성(homeostasis) : 신체 내부 환경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 - 항정 상태(steady state) : 세포 조직의 요구량과 요구에 대응하는 신체 반응이 균형 이루는 것 (ex. 최대운동시 심박수가 더 이상 오르지 않는 것) 2) 체온조절에서의 항상성 - 체온 증가 시 : 열 수용기 → 열 조절 센터 → 혈관 확장, 땀 배출 → 열손실 → 정상상태 - 체온 감소 시 : 열 수용기 → 열 조절센터 →혈관 수축, 땀샘 비활성화 → 열보존 → 정상상태 3) 혈당조절에서의 항상성 - 혈당 증가 시 : 췌장의 수용기 → 조절 중추 → 인슐린 분비 → 세포의 포도당 섭취 → 혈당 정상 - 혈당 감소 시 : 췌장의 수용기 ..

운동생리학 2020.03.09

2015년 운동생리학 16~20번 풀이/해설

2015년 건강운동관리사 필기시험 1교시 운동생리학 A형 체온이 상승하면 산소와 헤모글로빈의 결합이 약해져 산소-헤모글로빈의 해리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하고, 골격근에 산소공급이 용이해진다. - 해리 : 산소-헤모글로빈에서 산소가 분리되는 것 - 산소-헤모글로빈 해리곡선 : X 축은 산소분압, Y 축은 산화형 헤모글로빈 포화도로 헤모글로빈과 산소의 친화도가 높아지면 왼쪽, 낮아지면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 답 : 다 평균동맥혈압은 심장의 주기(수축기 + 이완기) 동안의 평균혈압으로 이완기혈압 + 1/3맥압의 공식으로 보통 측정한다. ※ 답 : 가 - 가 : 신체가 클수록 필요한 혈액량(산소량)이 많고, 같은 강도에서 운동시 보통 남자가 여자보다 1회 박출량이 높아 심박출량이 높다. - 나 : 훈련자는 비훈..

2015년 운동생리학 11~15번 풀이/해설

2015년 건강운동관리사 필기시험 1교시 운동생리학 A형 Type II 섬유는 ATPase 활성도가 높아 Type I 섬유보다 더 많은 ATP를 사용해 큰 힘을 발생시킬 수 있다. - Type I 형 섬유는 미토콘드리아 수가 많아 산화적 능력이 좋고 유산소성 에너지 체계를 주로 사용해 피로 저항이 높고 ATPase의 활성도가 낮아 작은 힘을 오랫동안 사용 가능 - Type II형 섬유는 미토콘드리아 수가 적어 산화적 능력이 낮고 무산소성 에너지 체계를 주로 사용해 피로 저항이 낮으며 ATPase의 활성도가 높아 큰 힘을 발생시킬 수 있음 ※ 답 : 나 코티졸의 분비는 스트레스 받을 때 시상하부에서 코티코트로핀 분비 호르몬 분비 → 뇌하수체에서 부신피질 자극 호르몬 방출 → 부신피질에서 코티졸 분비로 조절..

2015년 기능해부학 1~5번 풀이/해설

2015년 건강운동관리사 필기시험 2교시기능해부학 A형 근육은 마이오신 - 액틴의 교차결합의 수에 따라 최대 힘이 달라지는데, 길이가 길어지거나 짧아지면 교차결합이 수가 감소하기 때문에 최대 힘이 감소한다. 손목을 굽히게 되면 손가락 굽힘근(깊은손가락굽힘근, 얕은손가락굽힘근, 긴엄지굽힘근)의 길이가 감소되어 쥐는 힘이 약해진다. ※ 답 : 나 사람의 정상적인 보행은 뒤꿈치 닿기 → 발바닥 닿기 → 중간디딤기 → 뒤꿈치 떼기 → 발가락 떼기의 과정으로 발생함. 이때 종아리세갈래근(장딴지근 두갈래 + 가자미근)은 발바닥 닿기시 거의 수축하지 않고 → 발바닥 닿기와 중간디딤기에서 신장성 수축을 해서 발의 발등쪽 굽힘을 조절 → 뒤꿈치떼기에서 단축성 수축을 해서 발목의 발바닥쪽 굽힘을 만들어 신체를 앞으로 미는..

2015년 운동생리학 6~10번 풀이/해설

2015년 건강운동관리사 필기시험 1교시 운동생리학 A형 일반적인 자극에 대한 신경전달은 감각수용기 → 감각신경 → 중추신경계(뇌, 척수) → 운동신경 → 말초신경계로 전달됨 - 추체로 : 추체세포에서 나온 신경축삭다발로 뇌의 일차운동영역이 근육을 움직이게 하는 기전 - 추체외로 : 운동신경세포와 직접 연결되지 않고 대뇌겉질을 통해 간접적으로 움직임에 기여하며 추체로를 통한 운동 시 근육의 긴장을 무의식적 조절함 ※ 답 : 가 가소성은 생명체가 환경에 적응해 어떤 것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것으로 운동은 뇌신경 시냅스의 가소성을 증가시킨다. ※ 답 : 라 부적 피드백은 정상 상태가 아닐 때 줄이거나 늘려서 정상상태로 만드는 피드백으로 출산 시 옥시토신의 분비는 이미 증가한 자궁의 수축을 더욱 증가시키므..

2015년 운동생리학 1~5번 풀이/해설

2015년 건강운동관리사 필기시험 1교시 운동생리학 A형 크렙스 회로는 아세틸 조효소 + 옥살아세트산 → 시트르산 → α-케토글루타르산염 → 숙신산 → 말산 → 옥살아세트산을 반복한다 ※ 답 : 나 유리지방산은 베타산화과정을 통해 아세틸 코에이로 전환되어 사용된다. - 나 : 해당작용은 포도당을 분해해 에너지를 얻는 과정 - 다 : 근육에서의 당원 분해는 근육의 당원이 해당 작용의 원료로 사용될 때 발생 ※ 답 : 라 지방 100% 사용시 호흡 교환율은 0.7이고, 탄수화물 100% 사용 시 호흡 교환율은 1.00 ※ 답 : 나 1MET = 3.5ml/kg/min 이므로 10MET = 35ml/kg/min 산소섭취량은 60kg X 35ml/kg/min X 10min = 21000ml/kg/min 이 되고..

"BCAA가 뭐야?"

안녕하세요 요즘 코로나 때문에 시국이 어수선하죠? 음식점이나 마트도 휴업하고 심지어 헬스장도 쉬는 곳이 많네요 코로나가 빨리 사라져서 편하게 운동할 수 있기를 기원하며, "BCAA"에 대해 알아볼게요. BCAA란? - BCAA는 우리 몸을 구성하는 아미노산 중 나뭇가지 모양의 분자구조를 가진 분지쇄아미노산(branched chain amino acid)의 영어의 앞글자만 따서 부르는 아미노산이에요. - BCAA는 우리 몸에 꼭 필요한 필수 아미노산인 류신(leucine), 이소류신(isoleucine), 발린(valine)으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먼저 아미노산이 무엇인지 알고 가야겠죠?? 아미노산은? - 단백질을 구성하는 기본단위로 우리 몸에서 만들어지지 않아 꼭 섭취해야 하는 필수 아미노산과 만들어 내..

알고 먹자 2020.03.06

에너지소비량

에너지 소비량 측정 1) 열에너지 - 신체가 일을 할 때 에너지를 사용하게 되면 세포호흡과 세포작용으로 인해 열 발생 - 열 발생은 대사율과 직접적으로 관련 - 열에너지 측정의 국제단위는 Joule(J) - 그러나 일반적으로 칼로리(Calorie)를 사용함 - 1Kcal = 4186J 2) 직접열량 측정법 - 열 생산을 측정해 사람의 대사율을 측정하는 과정 - 사람의 열 사용량 = 열 발생량 + 열 손실량 - 열 발생량 : 사람을 열량계에 들어가게 한 후, 사람의 체온으로 인해 증가된 방 주위 물의 온도 변화량을 측정 - 열 손실량 : 호흡기관이나 피부를 통해 수분이 증발하면서 발생되는 열 손실량을 배출되는 공기를 통해 측정 3) 간접열량 측정법 - 산소 소비량을 통해 인체 대사율의 추정치를 구하는 측정..

운동생리학 2020.03.06

인체측정과 자유물체도(Free body diagram)

인체측정학(Anthropometry) 1) 정의 - 길이, 무게, 부피, 밀도, 중력 중심, 질량 관성모멘트 같은 인체의 신체적 특성에 대한 측정 - 운동형상학적, 운동역학적 분석에 필수적 2) 측정자료 인체 분절 정의 체중에 대한 무게비율 중력중심 위치(분절 전체길이에 대한 몸쪽 끝부분에서의 위치) 머리-목 바깥귀길 ~ 첫쨰 갈비뼈 8.1 % 0 % 몸통 오목위팔관절 축 ~ 넙다리뼈 큰돌기 49.7 % 50 % 위팔 오목위팔관절 축 ~ 팔꿉관절 축 2.8 % 43.6 % 아래팔 팔꿉관절 축 ~ 자쪽 붓돌기 1.6 % 43 % 아래팔-손 팔꿉관절 축 ~ 자쪽 붓돌기 2.2 % 68. 2 % 손 손목관절 축 ~ 중지의 몸쪽손가락뼈사이관절 0.6 % 50.6 % 팔 전체 오목위팔관절 축 ~ 자쪽 붓돌기 5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