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건강운동관리사 158

운동역학

근육 뼈대의 힘 1) 조직에 작용하는 힘 - 부하(load) : 신체에 작용하는 힘 - 탄성 영역(Elastic region) : 부하에 의해 조직이 길어지고 부하가 사라지면 원래의 길이로 돌아올 수 있는 영역 - 항복점(Yield point) : 늘어난 조직의 장력 증가가 거의 없는 지점 - 가소성 영역(Plastic region) : 부하가 사라져도 조직이 원래의 길이로 돌아오지 않고 변형이 되는 영역 - 최종파열점(Ultimate failure point) : 조직이 파열, 분리되어 장력을 잃는 지점 2) 조직에 작용하는 힘의 종류 - 장력(Tension) : 서로 다른 방향으로 조직을 당기거나 늘리는 힘 - 압박력(Compression) : 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 - 굽힘력(Bend..

가슴근(흉근, Pectoral muscles)

큰가슴근(대흉근, Pectoralis Major) 1) 부착부위 - 기시 : 빗장갈래 - 빗장뼈 안쪽 절반 앞모서리(쇄골 중앙 전면, clavicle medial half) 복장갈비갈래 - 복장뼈(흉골, sternum) 1~6 갈비뼈 갈비연골(1~ 6 rib costal cartilage) 배곧은집(rectus sheath) - 정지 : 위팔뼈의 큰결절능선(상완골 대결절릉, crest of greater tubercle) 2) 작용 - 팔의 모음 - 팔의 안쪽돌림 - 팔의 수평모음 - 어깨관절 굽힘 보조 3) 신경지배 - 안쪽 가슴근신경(medial pectoral nerve) - 가쪽 가슴근신경(lateral pectoral nerve) 작은가슴근(소흉근, Pectoralis Minor) 1) 부착부위..

어깨올림근(견갑거근, Levator scapular)

1) 부착부위 - 기시 : 1번~4번 목뼈 가로돌기 뒤결절(1번~4번 경추 횡돌기 뒤결절, C1~C4 transverse process posterior tubercle) - 정지 : 어깨뼈 위각(견갑골 상각, scapular superior angle) 2) 작용 - 어깨뼈 올림 - 목 돌림 3) 신경 지배 - 등쪽어깨신경(견갑배신경, dorsal scapular nerve) - 3~4번 목뼈 척수신경 앞가지(C3-C4 ventral root)

"운동수행능력증가" 크레아틴편

오늘 다룰 주제는 "크레아틴"인데요. 평소 헬스에 관심이 많으신 분들은 크레아틴이라는 말을 들어보셨을 거예요. 우리 몸에 꼭 필요한 "크레아틴" 그냥 먹지 말고 어떻게 작용하고 어떻게 먹어야 하는지 알아볼까요? 크레아틴이란? - 우리 몸의 간과 신장에서 아르기닌, 글리신, 메티오닌의 합성으로 발생하는 물질로 ATP에 의해 인산 크레아틴으로 우리 몸의 근육에 대부분 저장돼요. ATP란? - 아데노신과 인산기 3개가 합쳐진 아데노신 3인 산으로 인체가 사용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에너지원 - ATP가 분해되어 ADP와 에너지가 되고 이 에너지를 사용하게 됨 크레아틴 인산 시스템 - 무산소성 에너지 대사작용으로 우리 몸에서 산소 없이 생성되는 에너지 시스템이에요 - 운동 시 ATP가 분해되어 ATP 수준이 감..

알고 먹자 2020.02.19

마름근들(능형근들, Rhomboids)

큰마름근(대능형근, Rhomboid Major) 1) 부착부위 - 기시 : 1번~4번 등뼈의 가시돌기(1~4 흉추 횡돌기, T1~T4 spinous process) - 정지 : 어깨뼈 안쪽 모서리(견갑골 내측연, scapular medial border) 2) 작용 - 어깨뼈 모음 - 어깨뼈 아래쪽 돌림 3) 신경지배 - 등쪽어깨신경(견갑배신경, dorsal scapular nerve) 작은 마름근(소 능형근, Rhomboid minor) 1) 부착부위 - 기시 : 6~7번 목뼈의 가시돌기(6~7번 경추 극돌기, C6~C7 spinous process) - 정지 : 어깨뼈 가시의 안쪽 모서리(견갑극의 내측연, medial border of scapular spine) 2) 작용 - 어깨뼈 모음 - 어깨뼈..

등세모근(승모근, Trapezius)

위 등세모근(upper trapezius) 1) 부착부위 - 기시 : 뒤통수뼈(후두골, occipital bone) - 정지 : 빗장뼈 가쪽-뒤면(쇄골 후-외측면, lateral-posterior clavicle) 2) 작용 - 어깨뼈 올림, 어깨뼈 위쪽 돌림 3) 신경 지배 - 일차적 지배 : 척수 더부신경(spinal accessory nerve) - 이차적 지배 : C2-C4의 앞가지(C2~C4 ventral root) 중간 등세모근(middle trapezius) 1) 부착부위 기시 : 목덜미 인대(항 인대) 정지 : 봉우리(견봉) 안쪽 모서리와 어깨뼈 가시(견갑극) 2) 작용 - 어깨뼈 모음, 어깨뼈 위쪽 돌림 3) 신경 지배 - 일차적 지배 : 척수 더부신경 - 이차적 지배 : C2-C4의 앞..

운동형상학

운동 형상학 운동을 만들어내는 힘, 토크 고려하지 않고 인체의 운동만을 서술하는 역학 1) 병진 운동(Translation) - 신체의 모든 부분들이 같은 방향으로 평행하게 움직이는 선형 운동 - 직선, 곡선의 방법으로 움직일 수 있음 2) 돌림 운동(rotation) - 신체가 중심점에 대해 원을 그리며 움직이는 운동 3) 능동 움직임(active movement) - 어떤 행동을 하기 위해 본인의 의지로 근육 수축을 하는 움직임 - ex) 물 마시기 위해 팔꿈치 구부리기, 뛰기 등 4) 수동 움직임(passive movement) - 본인의 의지가 아닌 다른 원인에 의해 근육이 수축되는 움직임 - ex) 중력의 당김, 타인에 의한 당김 등 뼈 운동 형상학 시상면, 이마면, 수평면에서 일어나는 뼈의 운..

"각성효과?" 카페인편

안녕하세요 "건강 알고 챙기자"의 운동하는 남자입니다. 오늘 다룰 주제는 "카페인"인데요 살면서 카페인이라는 말 많이 들어보셨죠? 우리 삶에서 흔하게 접하는 "카페인" 그냥 먹지 말고 우리 몸에서 어떻게 작용하고 어떤 음식에 들어있는지 알아볼까요? 마지막에 요약 부분 있으니 확인해주세요. 카페인이란? -대부분 카페인 분말은 쉽게 보지 못하셨을 텐데요. 사실 카페인은 커피 열매나 카카오 열매 등에서 추출하는 쓴맛 나는흰색 분말이에요. 카페인 효과 - 우리가 카페인을 먹으면 중추신경계(뇌, 척수)를 자극시켜 우리 몸을 각성상태로 만들어서 집중력을 향상하고, 신진대사작용을 촉진해 기초대사량을 증가시켜요. 이때 각성상태란 신체에서 교감신경이라는 신경이 작용해 의식이 고조되어 생리적, 신체적으로 활성화된 상태를 ..

알고 먹자 2019.05.0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