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건강운동관리사 158

오목위팔관절(GH joint)에서의 팔 올림 근육

오목위팔관절(GH joint)의 팔 올림 근육 1) 근육 - 앞어깨세모근(전면삼각근, anterior deltoid) - 중간어깨세모근(중간삼각근, middle deltoid) - 가시위근(극상근, supraspinatus) - 부리위팔근(오훼상완근, coracobrachialis) - 위팔두갈래근 긴 갈래(상완이두근 장두, long head of biceps brachii) 2) 기능 - 앞/중간 어깨세모근과 가시위근은 어깨 벌림 시작 시 활성화되어, 60~90도 벌림 시 최대 수준이 됨 - 중간어깨세모근과 가시위근은 비슷한 단면적과 모멘트 팔을 가져 어깨 벌림의 토크를 비슷하게 생산함 - 어깨세모근/가시위근 마비 시 능동적인 어깨 벌림이 불가능함 어깨가슴관절의 위쪽 돌림 근육 1) 근육 - 앞톱니근(..

어깨가슴관절(견흉관절, ST joint)의 근육

올림(거상) 근육들 1) 올림 근육 - 위등세모근(상부 승모근, upper trapezius) - 어깨올림금(견갑거근, levator scapulae) - 큰마름근(대능형근, major rhomboid) - 작은마름근(소능형근, minor rhomboid) 2) 기능 - 팔이음뼈(어깨뼈/빗장뼈)와 팔의 자세를 지지함 - 위등세모근은 빗장뼈의 가쪽 끝에 부착되어 복장빗장관절에 지레 작용 제공 3) 위등세모근의 마비로 인한 병리현상 ㄱ. 폴리오바이러스 - 폴리오바이러스에 의해 위등세모근 마비 - 빗장뼈가 내림되어 복장빗장관절의 위쪽 탈구 유발 - 복장빗장관절이 탈구되면 빗장뼈 가쪽 끝이 낮아짐 - 낮아진 빗장뼈 가쪽 끝이 첫째 갈비뼈에 놓여, 빗장뼈 안쪽이 위로 밀림 - 내림된 빗장뼈 몸통이 빗장 밑 혈관들..

2015 병태생리학 1~5번 풀이/해설

2015년 건강운동관리사 필기시험 2교시 병태생리학 A형 - 다 : 급성 염증의 국소 증상은 대식세포, 호중구, 단핵구 등의 활성으로 발생한다. ※ 답 : 다 - 라 : 부정맥 중 심박세동은 심박출량이 감소되고, 빈맥성 부정맥은 저혈압을 유발한다. ※ 답 : 라 - 나 : 심근허혈이 발생하면 심근세포는 비가역적으로 파괴됨 - 다 : 심근경색은 좌심실 기능 저하를 유발하면 대동맥의 압력을 감소시킴 - 라 : 잘모르겠음 ㅜㅜ ※ 답 : 가 - 나 : 부신질환을 통해 속발성(이차성) 고혈압이 유발된다. ※ 답 : 나 좌심실 기능부전은 폐에서 들어오는 혈액을 전신으로 보내지 못해, 혈액이 폐에 정체되어 폐울혈 증상과 심박출량 감소가 발생함. 증상으로는 호흡곤란, 피로, 허약, 야간뇨, 빈맥, 발한 등이 있음 ※..

2015 운동상해 6~10번 풀이/해설

2015년 건강운동관리사 필기시험 2교시 운동상해 A형 재활운동 중 회복단계에서는 관절 가동범위 회복, 연부조직의 유연성, 근력 및 근지구력 향상에 목적을 둔다. ※ 답 : 나 손상부위의 부종과 발열 조절과 휴식은 초기 급성 단계에서 실시한다. ※ 답 : 나 오브라이언 검사는 SLAP병변의 스페셜 테스트로 환자의 어깨를 90도 굽힘/15도 수평 모음 하고 팔을 안쪽 돌림한 후 검사자가 환자의 손목을 잡고 누르며 환자가 저항하게 하는 검사로 안쪽돌림 한 후 저항시 통증이 있는 경우 SLAP병변을 의심한다. ※ 답 : 가 - 트렌델렌버그 검사는 엉덩관절의 중둔근 약화의 스페셜 테스트 ※ 답 : 다 재활 운동은 환부의 통증/부종 조절 → 관절 가동범위(ROM) 회복 → 등척성 활동을 통한 근력/근지구력 회복 ..

2015 운동상해 1~5번 풀이/해설

2015년 건강운동관리사 필기시험 2교시 운동 상해 A형 무릎관절에서의 불행한 3화음은 무릎관절의 연이은 부상을 의미하며, 앞십자인대(ACL), 안쪽곁인대(MCL), 안쪽반달연골(MM)의 손상됨 ※ 답 : 다 허리 통증 발생과 몸을 앞으로 숙이는 동작에서 통증이 증가하면 허리 추간판탈출증(허리디스크)를 의심해봐야 하며, 허리 추간판 탈출증이 스페셜 테스트는 하지 직거상 검사가 있다. ※ 답 : 나 팔꿈관절의 가쪽위관절융기염은 테니스 엘보라고도 하며, 팔꿈치 관절의 폄근과 뒤침근의 과사용 등으로 발생한다. ※ 답 : 라 - 가 : 인조잔디는 열을 쉽게 받고 건조하며 날카롭기 때문에 천연잔디에서 보다 손상을 야기할 확률이 높다. ※ 답 : 가 - 가 : 뇌진탕 후 증후군은 의식불명을 동반하지 않는 가벼운 머..

어깨복합체의 6가지 운동형상학적 원리

어깨위팔리듬(Scapulohumeral rhythm) - 30도의 어깨 벌림 이후 벌림은 오목위팔관절 : 어깨가슴관절 = 2 : 1 의 비율로 발생함 - 어깨의 3도 벌림 = 오목위팔관절에서 2도 벌림 + 어깨가슴관절 1도 위쪽 돌림 - 결과적으로 어깨의 180도 벌림은 오목위팔관절에서 120도 + 어깨가슴관절에서 60도의 움직임으로 발생됨 어깨 완전 벌림 시 60도의 어깨뼈 위쪽 돌림 - 어깨위팔리듬에 의해 발생한 어깨가슴관절의 위쪽돌림은 복장빗장관절의 빗장뼈 올림 + 봉우리빗장관절의 어깨뼈 위쪽돌림이 결합된 움직임 - 기술적인 이유로 어깨가슴관절의 위쪽 돌림에서 발생하는 복장빗장관절과 봉우리빗장관절의 각운동을 정확히 측정하기 어려움 어깨 완전 벌림 시 복장빗장관절(SC joint)에서 빗장뼈 뒤당김 ..

2015 운동부하검사 16~20번 풀이/해설

2015년 건강운동관리사 필기시험 1교시 운동부하검사 A형 - 다 : 운동 시 심박수 증가 부전은 최대 심박수 예측치보다 20 bpm이상 낮게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 답 : 다 - 가 : 운동강도 증가 시 수축기 혈압이 안정 시 보다 감소되면 주의해야 함 - 다 : 혈관확장제, 칼슘채널차단제 등의 약물의 섭취는 정확한 혈압측정을 어렵게 만듦 -라 : 정상상태의 이완기 혈압은 운동 중에 유지되거나 감소하므로 운동 후 이완기 혈압은 점진적으로 감소하지 않음. ※ 답 : 나 심전도에서 T파의 역전은 심근허혈, 심근경색을 의심할 수 있으나 ST 분절의 이상이 없는 T파의 역전은 허혈성 심질환이 아닐 확률이 높음 ※ 답 : 라 - 가 : 민감도는 관상동맥질환이 있는 사람이 양성의 결과를 얻는 경우의 백분율이..

오목위팔관절(관절와상완관절, GH joint)의 관절학

오목위팔관절(관절와상완관절, GH joint) 1) 특징 - 큰 위팔뼈머리의 볼록면과 얕은 어깨뼈 관절 오목의 오목면으로 형성 - 어깨뼈 관절오목의 관절면은 앞-가쪽 향하고 위팔뼈머리는 안-위쪽을 향해 서로 마주 보게 됨 2) 관절주위 결합조직과 구조 ㄱ. 섬유성 관절주머니(Fibrous capsular) - 관절오목 테두리 ~ 위팔뼈의 해부목에 부착 - 관절주머니의 공간 용적은 위팔뼈머리 크기의 2배로 오목위팔관절의 가동성을 증가시킴 - 윤활막(synovial membrane) : 관절주머니 안을 지나가는 위팔두갈래근의 긴 힘줄과 나란히 놓임 - 겨드랑이주머니(액와낭, Axillary pouch) : 관절주머니의 느슨한 부분 ㄴ. 오목위팔관절주머니인대(상완관절낭인대, Glenohumeral capsul..

2015년 기능해부학 16~20번 풀이/해설

2015년 건강운동관리사 필기시험 2교시 기능해부학 A형 - 가 : 반힘줄모양근(반건양근), 반막모양근(반막양근), 넙다리두갈래근(대퇴이두근)을 통틀어서 넙다리뒤근육(햄스트링)이라고 한다. ※ 답 : 가 - 가 : 등세모근은 위목덜미선, 바깥뒤통수뼈융기, 목덜미 인대, 등뼈의 가시돌기 ~ 빗장뼈, 어깨뼈 가시, 봉우리 안쪽 모서리에 부착 - 나 : 어깨올림근은 C1 ~ C4의 가로 돌기 ~ 어깨뼈 위각, 어깨뼈 위각의 안쪽 모서리에 부착 - 다 : C2 ~ C7의 가로돌기 ~ 첫째 갈비뼈 위모서리, 둘째갈비뼈각에 부착 ※ 답 : 라 사람의 보행을 측정하는 방법인 공간적방법과 시간적 방법에서 가장 기능적인 측정은 걷기 속력이다. ※ 답 : 나 - 라 : 단거리 선수는 마라톤 선수보다 상대적으로 큰 보폭이 ..

2015 운동부하검사 11~15번 풀이/해설

2015년 건강운동관리사 필기시험 1교시 운동부하검사 A형 최대산소섭취량 도달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생리학적 기준에는 호흡교환율이 1.15 이상일때, 부하는 증가하면서 최대심박수의 95%일 때, 부하는 증가하면서 산소섭취량이 고원상태일 때, 혈중 젖산농도가 8mmol/L이상일 때, RPE가 17이상일 때가 있다. ※ 답 : 다 - 라 : 호흡가스는 측정기를 통해 운동 중에 지속적으로 측정된다. ※ 답 : 라 - 나 : 운동부하검사를 갑자기 종료하게 되면 혈압이 즉시 떨어질 수 있으니 주의해야함 - 다 : 호흡이 곤란한 피검자는 등을 기대고 앉은자세가 효과적이다. - 라 : 운동부하검사 후 측정변인에는 심전도, 혈압, 심박수, 증상/징후가 있다. ※ 답 : 가 - 나 : 잘 모르겠음 ㅜㅜ - 다 : 운동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