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능해부학 46

오목위팔관절(관절와상완관절, GH joint)의 관절학

오목위팔관절(관절와상완관절, GH joint) 1) 특징 - 큰 위팔뼈머리의 볼록면과 얕은 어깨뼈 관절 오목의 오목면으로 형성 - 어깨뼈 관절오목의 관절면은 앞-가쪽 향하고 위팔뼈머리는 안-위쪽을 향해 서로 마주 보게 됨 2) 관절주위 결합조직과 구조 ㄱ. 섬유성 관절주머니(Fibrous capsular) - 관절오목 테두리 ~ 위팔뼈의 해부목에 부착 - 관절주머니의 공간 용적은 위팔뼈머리 크기의 2배로 오목위팔관절의 가동성을 증가시킴 - 윤활막(synovial membrane) : 관절주머니 안을 지나가는 위팔두갈래근의 긴 힘줄과 나란히 놓임 - 겨드랑이주머니(액와낭, Axillary pouch) : 관절주머니의 느슨한 부분 ㄴ. 오목위팔관절주머니인대(상완관절낭인대, Glenohumeral capsul..

어깨가슴관절(견흉관절, ST joint)의 관절학

어깨가슴관절(견흉관절, STjoint) 1) 특징 - 어깨가슴관절은 진짜 관절이 아니라 어깨뼈 앞면과 가슴의 뒤-가쪽 사이의 접촉부위 - 접촉부위는 직접 접촉이 아니라 어깨밑근(견갑하근), 앞톱니근(전거근), 척추세움근(척추기립근) 등의 근육에 의해 분리됨 - 근육들에 의한 접촉면은 움직임 동안 관절에 가해지는 전단력을 낮춤 - 어깨가슴관절의 움직임은 어깨의 큰 가동성을 보조함 어깨가슴관절(견흉관절, ST joint)의 운동형상학 - 어깨가슴관절(ST joint)의 움직임은 봉우리빗장관절(AC joint)과 복장빗장관절(SC joint)의 협동 움직임으로 발생함 1) 어깨가슴관절의 올림 - 복장빗장관절(SC joint)에서 빗장뼈 올림 + 봉우리빗장관절(AC joint)에서 어깨뼈 아래쪽 돌림으로 발생 ..

봉우리빗장관절(견쇄관절, AC joint)의 관절학

봉우리빗장관절(견쇄관절, AC jount) 1) 특징 - 빗장뼈 가쪽 끝과 어깨뼈 봉우리 사이로 구성 - 어깨뼈 봉우리의 빗장관절면은 안쪽-위쪽으로 향해있어 빗장뼈의 봉우리 관절면에 잘 맞음 - AC관절에는 관절원반이 있음 - 관절면이 평평한 평면관절 2) 관절주위 결합주위 ㄱ. 관절주머니인대(관절낭인대, Capular ligament) - 위관절주머니인대(상관절낭인대, superior) : AC 관절의 관절주머니를 보강해 안정성 높임 - 아래관절주머니인대(하관절낭인대, inferiror) : AC 관절의 관절주머니를 보강해 안정성 높임 ㄴ. 부리빗장인대(오훼쇄골인대, Coracoclavicular ligament) - 마름인대(능형인대, trapezoid ligament) : 부리돌기 위면 ~ 빗장뼈 ..

복장빗장관절(흉쇄관절, SC joint)의 관절학

어깨복합체의 관절학 용어 1) 움직임 용어 - 올림(거상, elevation) : 어깨뼈가 위쪽으로 미끄러지는 것 - 내림(하강, depression) : 어깨뼈가 아래쪽으로 미끄러지는 것 - 내밈(전인, protraction) : 어깨뼈 안쪽 모서리가 신체 중앙에서 멀어지는 것 - 뒤당김(후인, retraction) : 어깨뼈 안쪽 모서리가 신체 중앙에 가까워지는 것 - 위쪽돌림(상방회전, upward rotation) : 어깨뼈 아래각이 위-가쪽으로 돌림 하는 것 - 아래쪽돌림(하방회적, downward rotation) : 어깨뼈 아래각이 아래-안쪽으로 돌림 하는 것 복장빗장관절(흉쇄관절, SC joint) 1) 특징 - 빗장뼈 안쪽 끝 + 복장뼈의 빗장 관절면 + 첫째 갈비 연골의 위쪽 모서리로 ..

어깨복합체의 골학

골학 1) 복장뼈(흉골, Sternum) ㄱ. 복장뼈자루(흉골병, manubrium) - 타원형의 빗장관절면 2개를 가짐 - 한 쌍의 갈비관절면 가짐 ㄴ. 빗장관절면(쇄골와, Clavicular facet) - 복장뼈자루 위의 양쪽 가장자리에 위치 - 빗장뼈와 관절해 복장빗장관절(흉쇄관절) 형성 ㄷ. 갈비관절면(늑골와, Costal facet) - 복장뼈자루 가쪽 가장자리에 위치 - 첫째/둘째 갈비뼈의 부착부위 2) 빗장뼈(쇄골, Clavicle) ㄱ. 빗장뼈몸통(쇄골체, Shaft) - 앞면 : 안쪽으로 볼록 가쪽으로 오목 - 긴축 : 수평면에 대해 약간 위쪽, 이마면에 대해 20도 뒤쪽 ㄴ. 복장 끝(흉골단, Sternal end) - 복장뼈와 관절해 복장빗장관절(흉쇄관절) 형성 ㄷ. 봉우리 끝(견봉..

힘과 토크와 벡터

힘 분석 1) 그래픽 방법 - 힘, 힘 벡터를 화살표로 표시하는 것 - 화살표 길이는 힘의 크기를 정확한 비율로 나타내야 함 - 화살표 방위와 방향은 힘과 일치 2) 힘 합성(Vector composition) - 여러 힘들을 단일의 합력으로 합치는 것 ㄱ. 동일선상의 힘 - 동일선상의 힘들은 벡터의 힘 크기를 단순히 더해서 구함 ㄴ. 다각형법(Polygon method) - 물체에 작용하는 힘이 동일선상에 있지 않을 때 힘을 분리해서 다각형을 만들어 합력을 구하는 방법 ㄷ. 평행사변형법(Parallelogram) - 물체에 작용하는 힘이 동일 선상에 있지 않을 때 주어진 힘으로 평행사변형을 만든 후 대각선을 그려 합력을 구하는 방법 3) 힘의 분해(Vector resolution) - 단일의 힘을 작용..

인체측정과 자유물체도(Free body diagram)

인체측정학(Anthropometry) 1) 정의 - 길이, 무게, 부피, 밀도, 중력 중심, 질량 관성모멘트 같은 인체의 신체적 특성에 대한 측정 - 운동형상학적, 운동역학적 분석에 필수적 2) 측정자료 인체 분절 정의 체중에 대한 무게비율 중력중심 위치(분절 전체길이에 대한 몸쪽 끝부분에서의 위치) 머리-목 바깥귀길 ~ 첫쨰 갈비뼈 8.1 % 0 % 몸통 오목위팔관절 축 ~ 넙다리뼈 큰돌기 49.7 % 50 % 위팔 오목위팔관절 축 ~ 팔꿉관절 축 2.8 % 43.6 % 아래팔 팔꿉관절 축 ~ 자쪽 붓돌기 1.6 % 43 % 아래팔-손 팔꿉관절 축 ~ 자쪽 붓돌기 2.2 % 68. 2 % 손 손목관절 축 ~ 중지의 몸쪽손가락뼈사이관절 0.6 % 50.6 % 팔 전체 오목위팔관절 축 ~ 자쪽 붓돌기 5 ..

생체역학의 기본원리

뉴턴의 운동법칙 1) 뉴턴의 제 1 법칙(관성의 법칙) - 외부에서 물체에 힘이 적용되지 않는 한 물체가 가만히 있거나 속도를 유지한다는 법칙 - 정적 평형(static equilibrium) : 물체의 선형 속도 / 돌림 속도 0인 경우 - 동적 평형(dynamic equilibrium) : 물체의 선형속도 / 돌림 속도 0이 아니지만 일정한 경우 - 관성(inertia) : 물체가 외부로부터 힘을 받지 않을 때 처음의 운동 상태를 계속 유지하려는 성질 - 질량(mass) : 물체를 구성하는 물질의 양 - 질량중심(center of mass) : 질량이 모든 방향에서 일정하게 분포되는 지점 - 질량관성모멘트(mass moment of inertia) :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물체가 계속해서 회전을..

근육피로(Muscular Fatigue)

근육 피로(Muscular Fatigue) 1) 근육피로 - 최대 노력에도 불구하고 운동으로 유발되는 근육 힘 감소 - 보통의 근피로는 휴식에 의해 회복됨 - 주어진 과제의 수행 실패 시간을 이용해 정량화 가능 2) 최대하 노력과 최대 노력에서 지속된 근수축 ㄱ. 반복적인 최대하 노력의 근수축 시 근육 피로 - 건강한 사람의 근육 피로는 최대하 노력에서 장시간 과제 시 감지하기 어려움 - 반복적 운동 시 큰 운동 단위가 동원되어 EMG의 진폭은 점진적으로 증가하지만 힘은 일정하게 유지됨 ㄴ. 반복적인 최대 노력의 근수축 시 근육 피로 - 최대 노력의 지속된 근수축은 최대 힘에서 빠른 감소율을 보임 - 반복적 운동 시 더 이상 동원되는 큰 운동 단위가 없어 EMG의 진폭은 근육의 힘만큼 감소 3) 근육 피..

뼈대 운동자로서의 근육

근육의 힘-속도 관계 1) 힘-속도 곡선(Force velocity curve) - 근육 길이의 변화 속도와 최대 힘 생산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곡선 - 수직축은 힘 / 수평축은 근육 길이 변화 속도 ㄱ. 동심성(Concentric) 힘-속도 관계 - 동심성 활동시 발생하는 힘은 근육 단축 속도에 반비례(수축 속도 증가 시 교차 연결 수 감소) - 등척성 수축때 교차 연결 수가 최대가 되어 동심성보다 큰 힘 생산 ㄴ. 편심성(Eccentric) 힘-속도 관계 - 편심성 활동시 발생하는 힘은 근육 신장 속도에 비례(정확한 이유 X) - 인간은 근육 손상을 막기 위한 보호기전에 의해 편심성으로 높은 속도에서 최대 활성 X - 동심성보다 근섬유가 적게 동원됨 ㄷ. 편심성 힘 생산이 동심성 힘 생산보다 큰 이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