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능해부학 46

손의 외재성 굽힘근

손의 외재성 굽힘근 1) 얕은손가락굽힘근(천지굴근, Flexor digitorum superficialis) - 위팔뼈 안쪽위관절융기, 자뼈 부리돌기에서 2~5 중간손가락뼈 바닥 양면에 부착됨 - 3개의 손목굽힘근(노쪽손목굽힘근, 자쪽손목굽힘근, 긴손바닥근), 원엎침근의 깊은쪽에 위치 - PIP관절과 얕은손가락굽힘근이 지나가는 관절 모두 굽힘함 - 새끼손가락 제외한 힘줄은 독립적 조절 가능 2) 깊은손가락굽힘근(심지굴근, Flexor digitorum profundus) - 자뼈 앞쪽 중간과 뼈사이막에서 2~5 먼쪽손가락뼈 바닥에 부착됨 - 아래팔의 가장 깊은 곳에 위치 - DIP관절과 깊은손가락굽힘근이 지나가는 관절 모두 굽힘함 - 검지를 제외한 손가락은 여러개의 근육다발로 연결되어 독립적으로 굽힘 어..

손가락뼈사이관절(지절관절, IP joint)

손가락의 관절 1) 몸쪽 손가락뼈사이관절(PIP joint) - 몸쪽 손가락뼈머리와 중간 손가락뼈바닥 사이의 관절 ㄱ. 관절융기 - 몸쪽 손가락뼈머리의 두개의 둥근 융기 ㄴ. 곁인대(collateral ligament) - 끈부분(cord) : 벌림과 모음을 제한 - 덧부분(accessory) : 바닥판과 연결되어 바닥판 보강 ㄷ. 바닥판(palmar palte) - 몸쪽 손가락뼈사이관절의 과다폄 제한 - 섬유손가락집의 부착부위 - 제지고삐인대(check rein ligament) : 바닥판의 몸-가쪽 영역으로 바닥판의 몸쪽 부착부위를 강화하고 관절의 과다폄을 제한함 2) 먼쪽 손가락뼈사이관절(DIP joint) - 중간 손가락뼈머리 ~ 먼쪽 손가락뼈바닥사이의 관절 - 몸쪽 손가락뼈사이관절과 유사하나 제..

손허리손가락관절(중수수지관절, MCP joint)

둘째~다섯째 손허리손가락관절(2nd~5th MCP joint) 1) 특징 - 볼록한 손허리뼈머리와 몸쪽 손가락뼈 몸쪽 관절면 사이의 관절 ㄱ. 곁인대 - 덧부분 : 부채모양 섬유로 구성되어 손허리뼈머리 뒤결절 ~ 바닥판 테두리에 부착 - 끝부분 : 굵고 강한 인대로 손허리뼈머리 뒤결절 ~ 손가락뼈 몸쪽 끝부위 바닥쪽에 부착 - 1쌍의 노쪽곁인대와 자쪽곁인대로 구성 ㄴ. 바닥판(수장판, palmar palte) - 손허리뼈머리 몸쪽 ~ 몸쪽 손가락뼈 바닥에 부착된 굵고 조밀한 섬유연골 - MCP관절을 강화하고 손가락 폄의 끝범위 제한 - 섬유손가락집의 부착부위 2) 손가락 뼈운동형상학 ㄱ. 굽힘 - 검지에서 소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가동범위 증가 - 검지에서 90도 굽힘 가능 - 소지에서 110도 굽힘 가..

손목손허리관절(수근중수관절, CMC joint)의 관절학

둘째~다섯째 손목손허리관절(2nd~5th CMC joint) 1) 둘째 손목손허리관절(검지) - 둘째 손허리뼈바닥이 작은마름뼈의 먼쪽 관절면 + 큰마름뼈 먼쪽 관절면 + 알머리뼈와 관절해 형성 - 먼쪽줄 손목뼈(작은마름뼈, 큰마름뼈, 알머리뼈)와 강력하게 결합해 손의 중심기둥 역할을 함 - 긴 노쪽손목폄근, 짧은 노쪽손목폄근, 노쪽손목굽힘근, 엄지모음근 등의 부착부위 2) 셋째 손목손허리관절(중지) - 셋째 손허리뼈바닥이 알머리뼈의 먼쪽 관절면과 관절해 형성 - 먼쪽줄 손목뼈(알머리뼈)와 강력하게 결합해 손의 중심기둥 역할을 함 - 긴 노쪽손목폄근, 짧은 노쪽손목폄근, 노쪽손목굽힘근, 엄지모음근 등의 부착부위 3) 넷째 손목손허리관절(약지) - 넷째 손허리뼈바닥이 알머리뼈 먼쪽 관절면 + 갈고리뼈 먼쪽 ..

손(Hand)의 골학

골학 1) 손허리뼈(중수골, Metacarpal) ㄱ. 손허리뼈 몸통(shaft) - 양쪽 끝부위에 관절면 가짐 - 바닥쪽면이 오목해 근육과 힘줄 수용가능 ㄴ. 손허리뼈 바닥(base) - 하나 이상의 손목뼈와 관절 - 2~5번째 손허리뼈바닥은 작은 관절면이 있어 서로 관절함 - 2~5번째 손허리뼈바닥은 일반적으로 앞쪽을 향해 정렬됨 ㄷ. 손허리뼈 머리(head) - 손허리뼈의 먼쪽 끝부위 - 한쌍의 뒤결절이 있어 손허리손가락 관절(MCP관절) 곁인대가 부착함 ㄹ. 엄지 손허리뼈 - 엄지의 손허리뼈는 90도 안쪽돌림되어있음 - 안쪽돌림되어 손바닥을 가로질러 새끼손가락과 닿을 수 있어 손의 정밀한 조작이 가능함 - 손목의 손배뼈가 바닥쪽으로 뻗어있어 관절하는 큰마름뼈-엄지 손허리뼈가 다른 손허리뼈에 비해 ..

손목 노쪽치우침근육과 자쪽치우침근육

손목의 노쪽치우침 근육 1) 근육 ㄱ. 긴 노쪽손목폄근(장요측수근신근, extensor carpi radialis longus) - 위팔뼈 가쪽위관절융기 ~ 셋째 손허리뼈바닥의 노쪽-뒤쪽면에 부착 - 노쪽치우침 토크 중 가장 큼 ㄴ. 짧은 노쪽손목폄근(단요측수근신근, extensor carpi radialis brevis) - 위팔뼈 가쪽위관절융기 ~ 둘째 손허리뼈바닥의 노쪽-뒤쪽면에 부착 ㄷ. 긴 엄지폄근(장무지신근, extensor pollicis longus) - 자뼈 중간 뒤면과 뼈사이막 ~ 엄지의 먼쪽 손가락뼈에 부착 ㄹ. 짧은 엄지폄근(단무지신근, extensor pollicis brevis) - 노뼈 중간 뒤면과 뼈사이막 ~ 엄지의 몸쪽 손가락뼈에 부착 - 노쪽치우침근육 중 모멘트팔이 가장 ..

손목 굽힘근

손목 굽힘근 1) 일차적 근육 - 손목뼈나 손허리뼈 몸쪽에 부착부위 가져 손목에서만 작용하는 근육 ㄱ. 노쪽손목굽힘근(요측수근신근, Flexor carpi radialis) - 위팔뼈 안쪽위관절융기 ~ 둘째 손허리뼈바닥의 바닥쪽에 부착 ㄴ. 자쪽손목굽힘근(척측수근신근, Flexor carpi ulnaris) - 위팔뼈 안쪽위관절융기 ~ 콩알뼈/가로손목인대/다섯째 손허리뼈바닥에 부착 ㄷ. 긴 손바닥근(장장근, Palmaris longus) - 위팔뼈 안쪽위관절융기 ~ 손바닥의 굵은 널힘줄에 부착 2) 이차적 근육 - 손가락에 먼쪽 부착부위 가져 손목과 손에 작용하는 근육 ㄱ. 깊은 손가락굽힘근(심지굴근, Flexor digitorum profundus) - 자뼈 앞면과 안쪽면의 몸쪽 ~ 4개의 힘줄로 나뉘..

손목 폄근육

손목 폄근육 1) 일차적 근육 - 손목뼈나 손허리뼈 몸쪽에 부착부위 가져 손목에서만 작용하는 근육 ㄱ. 긴 노쪽손목폄근(장요측수근신근, Extensor carpi radialis longus) - 위팔뼈 가쪽위관절융기 ~ 둘째 손허리뼈바닥의 등쪽에 부착 ㄴ. 짧은 노쪽손목폄근(단요측수근신근, Extensor carpi radialis bervis) - 위팔뼈 가쪽위관절융기 ~ 셋째 손허리뼈바닥의 등쪽에 부착 ㄷ. 자쪽손목폄근(척측수근신근, Extensor carpi ulnaris) - 위팔뼈 가쪽위관절융기 ~ 다섯째 손허리뼈바닥의 등쪽에 부착 2) 이차적 근육 - 손가락에 먼쪽 부착부위 가져 손목과 손에 작용하는 근육 ㄱ. 손가락폄근(지신근, Extensor digitorum) - 위팔뼈 가쪽위관절융기 ..

손목의 운동형상학

뼈운동형상학 1) 손목의 시상면 돌림 운동 - 돌림축 : 알머리뼈의 안쪽-가쪽 방향으로 지나감 ㄱ. 굽힘 - 70도~85도 가능 - 먼쪽노뼈의 바닥 쪽 기울임 때문에 폄보다 10도~15도 정도 큼 ㄴ. 폄 - 60~75도 가능 - 굵은 바닥쪽 노손목인대에 의해 끝 범위 제한됨 2) 손목의 이마면 돌림 운동 - 돌림축 : 알머리뼈 머리의 앞쪽-뒤쪽 방향으로 지나감 ㄱ. 자쪽치우침 - 35도~40도 - 먼쪽노뼈의 자쪽기울임에 의해 노쪽치우침보다 큼 ㄴ. 노쪽치우침 - 15도~20도 3) 자연스러운 손목 움직임 - 다트를 던지는 동작과 비슷함 - 폄은 노쪽치우침과 같이 발생 - 굽힘은 자쪽치우침과 같이 발생 - 25도~50도의 사선 방향으로 발생 - 손목 관절 내의 관절 접촉을 최대화시키고, 손배뼈와 반달뼈의..

손목 관절의 구조와 인대

손목 관절의 구조 1) 노손목관절(요수근관절, Radiocarpal joint) - 몸쪽 성분 : 노뼈 ~ 인접 관절 원반에 의해 형성된 오목한 관절면 - 먼쪽 성분 : 손배뼈 ~ 반달뼈 ~ 세모뼈에 의해 형성된 볼록한 관절면 - 손목을 가로지르는 힘을 분산시킴 - 손목 부분 폄과 약간 자쪽 치우침 시 관절 접촉면적이 가장 큼 2) 손목뼈중간관절(중수관절, Midcarpal joint) - 손목뼈 몸쪽줄(손배뼈, 반달뼈, 세모뼈, 콩알뼈)과 손목뼈 먼쪽줄(큰마름뼈, 작은마름뼈, 알머리뼈, 갈고리뼈) 사이의 관절 ㄱ. 안쪽 구획 - 알머리뼈머리 ~ 갈고리뼈 꼭지의 볼록 관절면과 손배뼈~반달뼈~세모뼈의 먼쪽 오목 관절면으로 구성 - 알머리뼈가 오목 관절면에 정확히 맞음 ㄴ. 가쪽 구획 - 손배뼈 먼쪽극 ~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