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운동처방사 142

2016 운동처방론 11~15번 풀이/해설

2016년 건강운동관리사 필기시험 1교시 운동처방론 A형 - ② : 식사 후에는 인슐린의 분비가 증가하므로 식사 전에 운동을 하는 것이 좋음 - ④ : 인슐린 이나 혈당강하제를 운동 직전에 사용하면 저혈당이 올 수 있음 ※ 답 : 3 당뇨병 환자의 운동처방 시 주의해야 할 사항 - 복혈당이 250mg/dl 이상이며 케톤증 있거나 공복혈당이 300mg/dl 이상인 경우 운동을 제한 - 운동 후 저혈당 증상은 12시간까지도 발생할 수 있으니 주의 - 공복혈당이 100mg/dl 이하인 경우 저혈당을 조심하며 탄수화물 섭취 - 운동은 가급적 식후에 함 - 인슐린 투여시 1시간 후에 운동을 하며, 주사 부위의 운동은 피함 등 ※ 답 : 4 목표심박수 공식 = 운동강도 X (최대심박수 - 안정 시 심박수) + 안정..

2016 운동처방론 6~10번 풀이/해설

2016년 건강운동관리사 필기시험 1교시 운동처방론 A형 - ① : 스트레칭은 주요 근육뿐 아니라 연관된 다른 근육도 실시하는 것이 좋음 - ② : 스트레칭 유지 시간은 30~60초 정도를 권장 - ④ : 스트레칭은 통증 느끼는 범위 전까지 하는 것이 좋음 ※ 답 : 3 비만 환자는 유산소 운동시 주 5~7일, HRR의 40~60% 강도로 30~60분 운동을 권장하며, 강도보다는 빈도랑 시간을 늘리는 운동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음 ※ 답 : 4 산소소비량을 구한 후, 1L 산소소비 = 5kcal 에너지 소비의 공식을 이용하는 문제 - 5METs X 3.5ml/kg/min X 80Kg X 60분 = 84000ml 의 산소 소비를 하고, 84000ml를 L로 환산하면 84L가 되므로, 84L X 5kcal ..

2016 운동처방론 1~5번 풀이/해설

2016년 건강운동관리사 필기시험 1교시 운동처방론 A형 - 개별성의 원리 : 개인 각각의 특성을 고려해 개인에게 맞는 운동을 해야한다는 원리 - 과부하의 원리 : 대상자의 현 신체 수준보다 높은 자극을 줘야 운동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원리 - 점진성의 원리 : 인체에 주어진 자극을 점진적으로 증가시켜야 효과적이라는 원리 - 다양성의 원리 : 운동을 지루하지 않게 여러가지 다양한 형태 등으로 해야한다는 원리 ※ 답 : 3 - ㄱ : 고위험군 환자의 운동검사를 실시할 때 감독이 필요한데, 이떄 감독은 건강운동관리사나 의사같이 자격이 있는 사람이 할 수 있음 ※ 답 : 2 ① : MET는 안정시 대사율을 나타내는 단위로, MET 자체로는 운동량을 나타낼 수 없음(잘모르겠음) ※ 답 : 1 - ④ : AC..

2016 건강체력평가 16~20번 풀이/해설

2016년 건강운동관리사 필기시험 1교시 건강체력평가 A형 ② : 앉아윗몸앞으로굽히기로 유연성 측정 시 반동을 쓰지 않도록 함 ③ : 스텝테스트에서 신체효율지수 산출 시 회복 심박수 값을 사용함 ④ : BMI는 단순히 체중을 키(m)제곱으로 나눈 값으로, 근육량이 많아도 BMI 상으로 비만이 나올 수 있으므로, 역도선수의 비만도 평가에 적합하지 않음 ※ 답 : 1 피검사자의 능력이 평균에서 얼마나 높은가를 알아보기 위해 Z점수를 구해야 한다. Z점수는 개인의 능력이 표준편차 상에서 어느 위치에 있는지 확인하는 점수로 (개인능력 - 평균) 값을 표준편차로 나누게 되며, 근력은 2, 심폐지구력은 1, 유연성은 1.5이므로 근력이 가장 우수함 ※ 답 : 1 운동자각도(RPE)는 피검사자가 주관적으로 느끼는 운..

손목(Wrist)의 골학

골학 1) 먼쪽 아래팔 ㄱ. 등쪽결절(Dosal tubercle) - 노뼈의 먼쪽 끝 중간에 위치 - 짧은 노쪽손목폄근 힘줄과 긴 엄지폄근 힘줄을 분리 ㄴ. 노뼈 붓돌기(Styloid process of the radius) - 먼쪽 노뼈 가쪽면에서 먼 쪽으로 뻗어있음 ㄷ. 자뼈 붓돌기(Styloid process of the ulnar) - 먼쪽 자뼈 뒤-안쪽 모서리에서 먼 쪽으로 뻗어있음 ㄹ. 노뼈 먼쪽 관절면 - 안-가쪽 방향과 앞-뒤쪽 방향에서 오목함 - 관절연골의 먼쪽 오목함이 손배뼈/반달뼈와 일치함 ㅁ. 노뼈 먼쪽 끝 부위의 특징 - 끝부위가 자쪽으로 25도 기울어져 손의 노쪽치우침이 자쪽치우침 보다 큼 - 먼쪽 관절면이 바닥으로 10도 기울어져 손목의 폄이 굽힘보다 큼 2) 손목뼈 ㄱ. 손배..

2016 건강체력평가 10~15번 풀이/해설

2016년 건강운동관리사 필기시험 1교시 건강체력평가 A형 국민체력 100 : 국민의 체력 및 건강 증진에 목적을 두고 체력 상태를 과학적으로 측정/평가해 운동 상담 및 처방을 해주는 국민 스포츠 복지 서비스로 참가한 국민들의 체력 수준에 맞는 맞춤형 운동프로그램을 제공하고, 꾸준히 참가하도록 체계적으로 관리하며, 체력 수준에 따라 국가 공인 인증서 발급함 ※ 답 : 1 동일한 검사자가 2회 반복측정시 측정 결과의 일관성이 낮으면 검사의 신뢰도가 낮다고 해석한다. ※ 답 : 3 제지방량 = 체중(60kg) - 체지방률(15kg) ※ 답 : 3 준거 타당도 : 검사도구의 측정결과(PACER)가 준거가 되는 다른 측정 결과(최대 운동부하검사 VO2max)와 관련이 있는 정도 ※ 답 : 2 BMI : 체중 ÷..

2016 운동생리학 16~20번 풀이/해설

2016년 건강운동관리사 필기시험 1교시 운동생리학 A형 전부하의 증가는 심장으로 가는 혈류량(정맥 회귀량)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정맥혈관 수축, 골격근 펌프(근육 펌프), 호흡근 펌프(호흡 펌프)의 3가지 요인이 있음 ※ 답 : 4 운동 시 골격근의 산소요구량이 증가하므로 골격근으로 가는 혈류량이 증가하는데 이때 심박출량의 증가, 혈액의 이산화탄소 분압의 증가, 산화질소 증가 등으로 인해 골격근으로 가는 혈류량이 증가함 ※ 답 : 2 심장주기의 등용성 수축기는 방실판이 닫히고 좌심실의 압력이 대동맥보다 높아져 대동맥 판막이 열리는 것까지의 단계로 좌심실의 용적에는 변화 없고, 압력은 증가된다. ※ 답 : 3 체온 증가 시 : 열 수용기 자극 → 시상하부 전엽 → 혈관확장, 땀 배출 → 열손실 → 정상 체..

아래팔 뒤침근과 엎침근

아래팔 뒤침근(Supinaor muscle) 1) 특징 - 뒤침근은 위팔뼈나 자뼈에서 기시 하고, 노뼈나 손에 정지해야 함 - 뒤침근은 돌림 축에 대해 내적인 모멘트 팔 가지면서 작용하는 힘 생산해야 함 - 아래팔의 뒤침은 어깨의 가쪽 돌림과 연결됨 2) 일차적 뒤침근육 ㄱ. 뒤침근(회외근, Supinator) - 얕은 쪽 섬유 : 가쪽위관절융기/가쪽곁인대/머리띠 인대 ~ 노뼈 몸 쪽 1/3에 부착 - 깊은 쪽 섬유 : 자뼈 뒤침근 능선 ~ 노뼈 몸 쪽 1/3에 부착 - 팔꿈치 안-가쪽 돌림 축에 가까이 위치 - 낮은 힘이 요구되는 뒤침 동작시 동원됨 ㄴ. 위팔두갈래근(상완이두근, Biceps brachii) - 장두 : 어깨뼈 관절 오목 위결절 ~ 노뼈거친면에 부착 - 단두 : 어깨뼈 부리 돌기 ~ 노..

드롭암 테스트(Drop Arm Test)

검사 용어 1) 민감도(Sensitivity) - 질환자 중 테스트를 통해 양성 판정을 받은 비율 - ex. 1000명에게 호킨스 테스트를 시킨다고 가정할 때, 어깨충돌증후군을 가진 100명의 환자 중 80명이 양성반응을 나타내면 민감도는 80% - 한마디로 어깨 충돌증후군이 있을 때 80%의 확률로 양성반응이 나타난다고 할 수 있음 - 민감도가 높은 검사에서 음성반응이 나타나면 진짜 음성일 확률이 높음 2) 특이도(Specificity) - 비질환자 중 음성 판정을 받은 비율 - ex. 1000명에게 호킨스 테스트를 시킨다고 가정할 때, 어깨충돌증후군이 없는 건강한 900명의 사람 중 600명이 음성반응을 나타내면 특이도는 66% - 한마디로 호킨스테스트를 통해 양성반응이 나타나면 33%의 확률로 어깨..

유산소성 ATP 생산

산화적 인산화(Oxidative phosphorylation) - 유산소성 과정으로 ATP 생성되는 과정 1) 크렙스 회로(Krebs cycle) - NAD+와 FAD 사용해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수소이온을 제거해 산화시키는 회로 - 발생한 수소이온 전달체(NADH, FADH)를 전자전달계로 보내 ATP생산 ㄱ. 아세틸조효소 A(Acetyl-CoA) - 크렙스회로를 시작하기 위한 탄소 분자 - 포도당은 해당 작용에 의해 2개의 피루브산염 생성(포도당을 연료로 사용 시 크렙스 회로 2번 돌림) - 해당 작용으로 발생한 피루브산염이 아세틸 조효소 A로 전환됨 - 단백질은 아미노산으로 분해되어 아세틸조효소 A로 전환됨 - 지방은 베타 산화과정을 통해 아세틸 조효소 A로 전환됨 ㄴ. 과정 ㄷ. 구아노신 3..

운동생리학 2020.04.01
반응형